![]() |
국민의힘 이준석 대표가 12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당대표 취임 1주년 기자간담회에 참석하고 있다. 연합뉴스 |
국민의힘 이준석 대표에 대한 당 윤리위원회 징계 논의가 이르면 이번 주 이뤄질 것으로 보이면서 정치권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징계 여부 및 수위에 따라 '조기 전당대회' 등 내홍이 극에 달할 수 있는 만큼, 윤리위의 결정에 정치권이 촉각을 곤두세우는 모양새다.
19일 정치권에 따르면 당 윤리위는 이르면 이번 주 중 '기습 회의'를 열 것이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해외 출장 중이던 이양희 윤리위원장이 귀국함에 따라 조만간 회의를 열지 않겠냐는 관측이 나오면서다.
특히 이 위원장이 전날 돌연 입장문을 내면서 이 같은 분석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전날 이 위원장은 입장문을 내고 윤리위 운영에 지장을 주는 부적절한 정치적 행위가 벌어지고 있다며 유감을 표했다. 이 위원장은 "윤리위 활동에 대한 다양한 추측성 정치적 해석이 제기되고 당 사무처의 부적절한 업무 처리로 윤리위원회의 정상적인 활동이 심각한 지장을 받고 있다"고 밝혔다.
이는 결국 이 대표가 최근 각종 언론 인터뷰 등을 통해 윤리위가 진행 상황에 대한 유출 금지 관련 규칙을 위반했다거나, 소관 범위를 벗어난 판단을 해 문제가 있다는 취지로 공개 비판한 데 대해 '반박 성격'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즉, 직접 거명은 하지 않았지만 사실상 이 대표를 겨냥한 경고라는 해석이 지배적이라는 설명이다.
또한 이 위원장이 "윤리위 개최는 당헌·당규에 따라 진행될 것"이라고 못 박은 만큼, 회의가 머지않아 열릴 것이라는 예상에 무게가 실리는 양상이다.
이 대표 징계 여부의 쟁점은 '증거인멸 교사 의혹과 관련한 품위 유지 의무 위반' 여부다.
앞서 윤리위는 지난 4월 시민단체 등이 "이 대표가 측근을 통해 성 상납 증거인멸을 시도했다"고 제소한 직후 회의를 열어 이 대표에 대한 징계 절차 개시를 결정했다. 현직 당 대표에 대한 징계 안건이 윤리위에 정식으로 회부된 것은 국민의힘과 그 전신 정당을 통틀어 처음 있는 일이었다.
당시 윤리위 측은 "절차 개시 단계에서 징계 여부나 수위를 단정할 수 없다"고 밝혔지만, 당 대표에 대한 시민단체의 의혹 제기가 징계 심의 대상으로 인정됐다는 점만으로도 상당한 파장을 가져왔다. 아직 윤리위의 회의 일정도 잡히지 않았지만, 당내에는 팽팽한 긴장감이 감돈다.
징계 수위는 제명, 탈당 권고, 당원권 정지, 경고 등 4단계다. 논의 결과에 따라 '당원권 정지' 이상의 징계가 확정되면 대표직 유지 등 거취와 직결될 수 있고, 설사 가장 낮은 단계인 '경고'에 그칠지라도 징계 소지가 인정됐다는 그 자체만으로도 정치적 입지에 타격이 작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더욱이 이 대표는 현재 관련 의혹은 물론이고 윤리위의 결정 권한 자체를 부정하며 반발하는 상황이다. 앞서 이 대표는 한 언론 인터뷰에서 "경고도 받아들이기 어렵다"는 입장을 공개적으로 밝힌 바 있다.
이에 실제로 징계가 이뤄질 경우 내홍이 여권 전반으로 번질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만일 이 대표가 내년 6월로 예정된 임기를 다 채우지 못하고 물러나게 될 경우, 차기 당권을 노리는 주자들 간 경쟁도 조기에 점화하면서 여당의 혼란 상황은 극에 달할 전망이다.
정재훈기자 jjhoon@yeongnam.com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