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구시의회 본회의장. 영남일보DB |
사상 처음으로 양당 구도가 형성됐던 제8대 대구시의회는 코로나19라는 미증유의 위기 속에서도 활발한 의정활동으로 눈길을 끌었다. 초선들이 절대다수를 차지한 가운데 적극적인 입법 활동이 주목을 받기도 했다.
22일 대구시의회에 따르면 8대 시의회는 임기 동안 34차례의 회의를 열고 1천228건의 안건을 심사·의결했다. 이를 통해 소상공인, 청년 창업, 교통약자 등에 대한 지원과 생활임금 도입, 아동 빈곤 예방 등의 정책 발굴과 제도 보완에 주력했다.
지난 4년 임기 중 심사한 안건 가운데 의원 발의 안건은 434건으로 35.3%를 차지했다. 특히 조례안은 총 689건 중 58.2%에 달하는 401건이 의원 입법이었는데, 이는 제7대 시의회의 221건보다 대폭 증가한 수준이다. 시정 질문은 1건(85건→84건) 줄었지만, 5분 자유발언은 242건으로 69건 늘어 의정활동의 전반적인 지표가 높아졌다.
대규모 단독주택지(제1종 주거지역)의 종상향, 코로나19로 인한 소상공인 등 생존 위기 대응책 마련, 건설공사로 인한 주민 피해 대책 마련 등 대구시민의 생활 개선을 위한 대안도 마련했다. 또한 대구경북 통합신공항 건설, 달빛내륙철도 건설, 취수원 다변화, LNG발전소 건설계획 철회 촉구 등 지역 최대 현안에 대해서는 시민의 뜻을 대변해 성명서와 결의안을 발표하는 적극적인 모습을 보여줬다. 그 결과 취수원 다변화 문제가 합의점을 찾는 등 긍정적인 성과를 내기도 했다.
네 차례 실시한 행정사무감사에서는 △나드리콜 안전대책과 장기 대기 문제 △도시철도 3호선 연장 경제성 △엑스코선 봉무 차량기지 민원 △공공의료기관 확충 △대구경북 행정통합 문제 등 1천972건의 미흡한 부분에 대한 시정과 해결책 마련을 주문했다.
지방자치 부활 30년 만에 이뤄진 지방의회 인사권 독립에 따라 지난 1월에는 첫인사를 단행했고, 전국 최초로 정책지원팀을 구성해 일하는 정책 의회로서의 기반도 다졌다는 평가를 받았다. 이 밖에도 시의원들은 연정, 소통하는 SNS, 대구의정 미래포럼, 자치정책연구회 등 4개 분야의 연구모임에서 활발한 활동을 하면서 '공부하는 시의회'의 모습을 보여주기도 했다.
다만, 정치적으로 다양한 목소리를 반영하고 소수 정당의 지방의회 진출을 위한 '기초의회 중대선거구제 확대안'을 무산시켰다는 점은 아쉬움으로 남는다. 대구시의회는 4인 선거구를 2인 선거구로 쪼개면서 중대선거구제의 등장을 가로막았다. 이에 정의당과 기본소득당·노동당·녹색당·진보당 등 진보 소수 정당과 시민사회단체로부터 비판을 받았다.
장상수 대구시의회 의장은 "진정한 의미의 지방분권 실현과 지역 경제의 재도약, 민생안정 등 아직도 해야 할 일들이 많다"며 "8대 시의회의 열의가 이어져서 새롭게 출발하는 제9대 시의회는 더욱 신뢰받는 지방일꾼으로 활약해 주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민경석기자 mean@yeongnam.com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