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홍준표 대구시장. 영남일보DB |
홍준표 대구시장이 16일 최근 정치 현안을 언급했다.
홍 시장은 자신의 페이스북에 '최근 몇 가지 단상'이라는 제목의 글을 통해 경찰국 신설 논란을 두고 "경찰만 통제 안 받는 독 공화국인가. 검찰은 법무부가 통제하고 장악하고 있지 않나"라며 "경찰뿐만 아니라 다른 부처도 장악 못하는 정권이 나라를 담당할 수 있겠나"라고 적었다.
이어 여야 청년 정치인들을 향해서는 "자칭 청년대표로 나서서 설치고 있지만, 나이만 청년이지 하는 행태가 기득권 구태와 다른 게 뭐가 있나"라고 비판했다.
홍 시장은 '탈북 어민 북송 사건'을 두고 야권에서 '신북풍'이라고 비판하는 데 대해선 "5년 내내 북풍 정치 해 놓고 김정은 2중대로 밝혀지니 그걸 반격이라고 하나"라고 받아쳤다.
홍 시장은 이날 시정 운영에 대한 자신의 생각도 밝혔다. 그는 또 다른 게시물에 "기업은 빚을 내더라도 경영을 잘해 이자보다 이익이 더 많게 되면 차입 경영이 오히려 이익이 될 수 있지만, 지방 행정을 기업처럼 차입 경영으로 운영하라고 무책임한 주장을 하는 것은 무책임한 선심성 포퓰리즘 행정을 하라고 부추기는 것과 다름이 없다"고 말했다.
이어 "지방채무가 늘면 미래세대의 부담이 과중하게 되고 국가적으로도 큰 부담만 지우는 빚투성이 나라가 된다"며 "또 지방행정은 국가경영과 달라서 재정확장 정책으로 경기 진작을 할 수 있는 정책적 수단이 없기 때문에 최선의 방책은 선심 행정 타파, 부채 감축으로 줄어드는 이자를 복지비용이나 미래준비에 투입하는 채무감축 행정이 바람직하다"고 덧붙였다.
그는 "개인이나 나라나 부채 폭증은 망국으로 가는 지름길"이라며 "구한말 국채보상운동을 우리는 잊으면 안된다. 그 국채보상운동의 진원지가 대구"라며 글을 마무리했다.
민경석기자 mean@yeongnam.com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