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국은행 제공> |
향후 1년의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인 '기대인플레이션율'이 4%대를 넘어서며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27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소비자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7월 기대인플레이션율은 지난 6월(3.9%)보다 0.8%포인트 오른 4.7%로 나타났다. 기대인플레이션율과 전월 대비 상승 폭 모두 2008년 통계가 시작된 이래 최고치다. 특히 상승 폭은 지난달(0.6%포인트)에 이어 두 달 연속 역대 최대치를 갈아치웠다.
한은은 지난 6월 소비자물가지수 상승률이 전년 대비 6.0%까지 상승하는 등 향후 물가 상승세가 낮아지지는 않겠다는 판단이 작용한 것이라 분석했다.
기대인플레이션율 응답에서 앞으로 1년간 소비자물가가 6% 이상 오를 것이라 응답한 비중은 24.4%로 가장 높았다. 이어 '5∼6%(19.6%)' '4∼5%(17.2%)' 등 순이었다. 물가 상승에 영향을 미칠 주요 품목으로는 석유류 제품(68.0%), 공공요금(48.5%), 농축수산물(40.1%) 순으로 나타났다.
소비자가 지난 1년간 주관적으로 체감한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의미하는 물가 인식은 한 달 사이 1.1%포인트 오르며 5.1%로 집계됐다. 금리수준전망지수(152)도 전월보다 3포인트 오르면서 3월부터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주택가격전망지수(82)는 금리 상승과 아파트 매매 가격 하락 등으로 16포인트 내려가 사상 최저치로 떨어졌다.
장기평균(2003~2021)과 비교한 소비자심리지수(CCSI)는 7월 중 86.0으로, 1개월 전보다 10.4포인트 하락했다. 높은 물가 상승세와 세계 주요국 긴축 가속화, 경기 둔화 우려 등으로 CCSI를 구성하는 모든 지수가 떨어진 영향이다. 향후 경기전망(-19포인트·50), 현재경기판단(-17포인트·43) 등 경기 관련 지수에서 크게 하락했다.
생활형편전망(-9포인트·79), 현재생활형편(-6포인트·81), 가계수입전망(-4포인트·93), 소비지출전망(-2포인트·112) 등 지수 또한 떨어졌다.
김형엽기자 khy@yeongnam.com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