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승민, 이태원 참사에 연일 '정부 책임론'…이준석은 "예방 대책이 우선"

  • 민경석
  • |
  • 입력 2022-11-02  |  수정 2022-11-01 17:42  |  발행일 2022-11-02 제5면
유승민, 이태원 참사에 연일 정부 책임론…이준석은 예방 대책이 우선
국민의힘 유승민 전 의원. 영남일보DB

국민의힘 유력 당권 주자인 유승민 전 의원이 '이태원 대규모 압사 참사'와 관련해 연일 정부 책임론을 제기하고 나섰다. 잠행을 이어오면서 침묵하던 이준석 전 대표도 사고 재발 방지를 위한 안전 대책 4가지를 제언하면서 목소리를 더했다.

유승민 전 의원은 1일 페이스북에 '국가는 재해를 예방하고 그 위험으로부터 국민을 보호하기 위하여 노력하여야 한다'는 대한민국 헌법 34조 6항을 올렸다. 그러면서 '#국가는 왜 존재하는가'라는 해시태그도 달았다.

그는 전날(31일)에도 "이태원 참사는 반드시 원인을 밝히고 책임을 물어야 한다. 국가는 왜 존재하나. 위험할 정도로 인파가 몰릴 것을 미리 예상하고 정부는 사전에 대비했어야 한다"라며 '경찰과 소방 인력을 미리 배치해서 해결할 수 있었던 문제는 아니었던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는 발언으로 논란을 빚은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의 파면을 촉구했다.

유 전 의원은 "전쟁이 난 것도 아니고 건물이 무너진 것도 아닌데 아무런 잘못도 책임도 없을 수는 없다"면서 "며칠 애도만 하고 수습만 하고 지나간다면 또 다른 재앙이 기다리고 있을 것이다. 철저히 잘못을 규명하고 책임을 묻고, 앞으로 어떻게 이런 인재(人災)를 막을 것인지를 정해야 한다"고 거듭 지적했다.

유승민, 이태원 참사에 연일 정부 책임론…이준석은 예방 대책이 우선
국민의힘 이준석 전 대표. 영남일보DB


이준석 전 대표도 오랜 침묵을 깨고 SNS에 사고 예방과 관련한 대책을 제안하면서 존재감을 드러냈다.

이 전 대표는 지난 31일 밤 자신의 페이스북에 과거 이태원에서 거주했던 경험을 언급하며 압사 사고 예방 대책으로 '데이터 기반 서울 시내 지하철 무정차 운행'을 제안했다. 이 전 대표는 "대학에서 졸업한 뒤 한국에 돌아와서 부모님과 10년을 이태원에 살았다. 사고가 발생한 골목이 아니더라도 위험한 지점은 많았다"면서 "통신사 기지국 밀집도 데이터와 교통카드 승하차 인원 통계를 바탕으로 사람의 의사 판단이 아니라 자동으로 무정차 운행을 시행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무정차 운행 등의 시행을 재난 문자를 통해 인근 사람들에게 자동으로 전파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고출력·고성능 스피커를 통해 인파 밀집 지역에서 상황 전파를 용이하게 하는 방법도 제시했다. 이 전 대표는 "앞에서 벌어지는 일이 뒤로 전파되지 못해 조기에 통로가 확보되지 못하고 사고가 커진 것으로 보인다"며 "사람이 밀집된 지역에서는 고출력, 고성능 스피커로 PA(Public Address) 시스템을 CCTV가 설치된 기둥마다 더해 설치해야 한다"고 했다.

이와 함께 경찰과 지방자치단체의 권한을 강화하는 법 개정을 통해 비상시 질서를 유지해야 한다는 견해도 밝혔다. 그는 "경찰과 지자체에 이런 상황이 발생했을 시 일시적이고 즉각적인 영업 중지 명령을 내릴 수 있도록 법 개정을 해야 한다"며 "업장별로 틀어놓은 음악만 중지돼도 상황전파에 큰 도움이 되었을 것"이라고 부연했다.

이 밖에도 그는 "용산 기지 반환이 완료되면 녹사평역 3번 출구와 4번 출구 인근은 세종로 지하 주차장처럼 대규모 지하 주차장으로 공간을 할당해서 개발해야 한다"는 방안도 언급했다. 이어 "이태원로 전체와 보광로 일부를 주말이나 공휴일에는 차 없는 거리로 전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민경석기자 mean@yeongnam.com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정치인기뉴스

영남일보TV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

영남일보TV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