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지역 대형마트가 지난 일요일(12일) 일제히 문을 열었다. 대구시가 전국 특·광역시 중 처음으로 의무휴업일을 휴일에서 평일(월요일)로 전환한 데 따른 것이다. 2012년 유통산업발전법 개정 이후 11년간 유지돼 왔던 일요일 영업 제한이 풀리면서 대형마트의 매출 신장 기대감이 높다. 휴일 장보기가 더 편해진 소비자도 대체로 반기는 분위기다. 하지만 대형마트 인근을 중심으로 전통시장이 더욱 썰렁해지지 않을까 우려된다. 또 휴일 근무는 노동자의 휴식권과 직결돼 있어 마트노조가 크게 반발하고 있는 점도 풀어야 할 숙제다.
대구시가 대형마트 휴일 영업을 전면 허용한 데는 그만한 이유가 있어 보인다. 무엇보다 소비자가 원하는 방향이다. 실제로 소비자의 70~80%가 대형마트 평일 휴무를 찬성한다는 여러 설문조사가 있다. 또한 유통시장의 지각 변동이 급격히 이뤄지는 상황에서 시대에 뒤처진 불합리한 규제를 굳이 고집할 이유가 없다. 사실 지난 10여 년간의 의무휴업일 규제는 실효성이 별로 없었다. 대형마트에서 빠져나간 매출이 전통시장으로 가기보다는 온라인 쇼핑몰이나 식자재마트, 편의점에 몰렸지 않은가. 이는 대구시상인연합회 등 상인단체가 대형마트 의무휴업일을 평일로 변경할 것을 먼저 제안한 배경이기도 하다.
이제 대형마트와 전통시장은 굳이 제로섬 게임을 할 이유가 없다. 골목상권의 피해를 최소화하면서 협력과 상생의 시너지를 낼 방안을 찾아야 한다. 아울러 마트 노동자의 근로환경 악화에 대한 해법도 강구해야 한다. 대구시와 구·군의 관심과 역할이 더욱 요구될 수밖에 없다. 대구발 대형마트 규제 완화의 파급 효과가 어디까지 미칠지 관심이 쏠린다.
대구시가 대형마트 휴일 영업을 전면 허용한 데는 그만한 이유가 있어 보인다. 무엇보다 소비자가 원하는 방향이다. 실제로 소비자의 70~80%가 대형마트 평일 휴무를 찬성한다는 여러 설문조사가 있다. 또한 유통시장의 지각 변동이 급격히 이뤄지는 상황에서 시대에 뒤처진 불합리한 규제를 굳이 고집할 이유가 없다. 사실 지난 10여 년간의 의무휴업일 규제는 실효성이 별로 없었다. 대형마트에서 빠져나간 매출이 전통시장으로 가기보다는 온라인 쇼핑몰이나 식자재마트, 편의점에 몰렸지 않은가. 이는 대구시상인연합회 등 상인단체가 대형마트 의무휴업일을 평일로 변경할 것을 먼저 제안한 배경이기도 하다.
이제 대형마트와 전통시장은 굳이 제로섬 게임을 할 이유가 없다. 골목상권의 피해를 최소화하면서 협력과 상생의 시너지를 낼 방안을 찾아야 한다. 아울러 마트 노동자의 근로환경 악화에 대한 해법도 강구해야 한다. 대구시와 구·군의 관심과 역할이 더욱 요구될 수밖에 없다. 대구발 대형마트 규제 완화의 파급 효과가 어디까지 미칠지 관심이 쏠린다.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