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1일 K-Water 영주댐지사 앞에서 영주시 기관단체장과 시민 등이 영주댐 준공인가를 촉구하는 '영주댐 준공 범시민 궐기대회'를 열고 있다. |
![]() |
21일 K-Water 영주댐지사 앞에서 영주시 기관단체장과 시민 등이 영주댐 준공인가를 촉구하는 '영주댐 준공 범시민 궐기대회'를 열고 있다. |
경북 영주댐이 조성된 지 6년이 지난 가운데 현재까지 준공 허가가 나지 않자, 지역 정치권과 시민들이 반발하고 나섰다.
영주댐발전협의회와 영주시 경제발전협의회는 21일 K-Water 영주댐지사 정문 앞에서 '영주댐 준공 범시민 결의대회'를 열고, 영주댐 준공을 촉구하는 성명서를 발표했다.
이날 궐기대회는 영주시경제발전협의회가 영주댐 준공요청 민원을 국민권익위원회(이하 권익위)에 제기함에 따라 권익위가 K-Water 영주댐지사에 방문한 것을 계기로 열렸다.
권익위는 이날 현장 민원상담을 열고 환경부와 영주시, 댐발전협의회, 영주시경제발전협의회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영주댐 준공 지연과 관련한 의견을 청취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경락 영주시경제발전협의회 실무부회장은 규탄 성명서를 통해 "1조1천억 원에 달하는 국민 혈세가 투입된 영주댐이 착공한 지 13년이 지난 현재까지 미 준공상태로 남아 정상적인 운영이 되지 않고 있다"라며 "국책 사업이 문화재 복원사업으로 인해 방치되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문화재 복원 사업은 관계인의 이해관계와 민원 및 현상변경허가 등의 사유로 언제 완료될지 모르는 상황에서 그 피해는 고스란히 주민들이 보고 있다"며 "영주댐 준공 지연으로 인한 비정상적 운영으로 주변 경관이 훼손과 야생동물 번식에 따른 피해가 심각하다"고 강조했다.
또 "댐의 존치를 둘러싼 지역 사회의 갈등을 부추기고 있는 데다, 불확실성에 따른 개발 지연으로 지역 경제와 관광 산업 발전에 막대한 피해를 주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날 궐기대회에서 박남서 영주시장은 "영주댐발전협의회와 영주시에서 환경부와 수자원 공사를 수차례 방문해 댐 준공 협조를 요청했음에도 문화재 복원사업이 완료돼야 한다는 기본적 입장만 고수하는 실정"이라며 "댐 준공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한국수자원공사 영주댐지사는 댐 준공 인가가 지연되는 것은 댐 주변 문화재 조성사업 부지로 옮기는 국가 민속문화재인 '괴헌고택' 이건(移建)이 완료되지 않았기 때문이라는 주장을 펼치고 있다.
하지만, 영주시는 댐 준공과 문화재 이건은 별개의 문제로 봐야 한다는 주장이다. 영주시 관계자는 "지난해 문화재청에 질의한 결과 영주 다목적댐 건설과 국가 민속문화재 이건은 별개이므로 댐 준공과 문화재 이건은 각각 완료 신고하면 된다는 회신을 받았다"고 반박했다.
한편 영주댐은 영주시 평은면 내성천에 있는 댐으로 4대강 정비사업의 일환으로 2009년 12월 착공해 2016년 본댐을 준공했다. 중형 다목적댐으로 1조1천억 원이 투입됐다. 저수용량은 1억8천t 규모다.
글·사진=손병현기자 why@yeongnam.com

손병현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