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대통령 "한중일 정상회의 적극 추진"…한·인도 협력 등 순방성과 조명

  • 정재훈
  • |
  • 입력 2023-09-12 13:18  |  수정 2023-09-12 15:02  |  발행일 2023-09-12
국무회의 모두발언서 순방 성과 부각

"리창·기시다 총리, 정상회의 재개 지지의사 표명"…인도와 우주협력 등 업급도

"韓진출 모든 나라 정상 만나 국민·기업 뒷받침"
尹대통령 한중일 정상회의 적극 추진…한·인도 협력 등 순방성과 조명
윤석열 대통령이 12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국무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尹대통령 한중일 정상회의 적극 추진…한·인도 협력 등 순방성과 조명
윤석열 대통령이 12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국무회의에서 국기에 경례하고 있다.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은 12일 "이번 순방 기간 중국 리창 총리와 일본 기시다 총리는 한중일 정상회의 재개에 대한 지지 의사를 표명했다"며 "한국은 의장국으로서 한중일 정상회의 개최를 적극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또 윤 대통령은 G20(주요 20개국) 의장국인 인도에서 모디 인도 총리와 정상회담을 했던 내용을 언급하며 "전통적 제조업 분야의 투자 협력을 넘어 그린산업, 우주협력 방안을 논의했다"고 강조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주재한 국무회의에서 지난 5∼11일 인도네시아·인도 순방 성과를 설명하면서 이같이 밝혔다. 이날 국무회의는 모두발언이 생중계 됐다.

윤 대통령은 모두발언에서 중국의 리창 총리와 만났다는 사실을 언급하면서 "북핵 위협이 우리 대한민국에는 그야말로 실존적 위협인 만큼, 북한 문제가 한중 관계에 걸림돌이 되어서는 안 된다는 점을 강조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북핵 문제가 심각해질수록 한미일 3국의 관계가 더 공고해질 수밖에 없다는 점을 언급하고, 한중관계의 발전을 위해서라도 중국이 안보리 상임이사국으로서 책임있는 역할을 해줄 것을 당부했다"고 소개했다. 윤 대통령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상임이사국을 언급한 것은 북-러 정상회담이 임박한 것으로 관측되는 상황에서 중국과 마찬가지로 상임이사국인 러시아를 향한 '압박성 메시지'로도 해석된다.

특히 윤 대통령은 한중일 정상간의 만남에도 기대를 표했다. 중국·일본 총리가 한중일 정상회의 개최 지지 의시를 표명했다면서 의장국인 한국이 개최를 적극 추진하겠다고도 언급한 것이다. 윤 대통령은 순방 기간 언급했던 '한·일·중' 대신 '한·중·일'이라고 표현해 눈길을 끌었다.

또한 윤 대통령은 이번 순방에 대해 "6개의 다자회의, 20개의 양자 회담, 모두 33개의 숨 가쁜 외교, 경제 일정을 소화했다"며 외교 성과를 집중 조명했다. 이들 중 G20 정상회의 의장국인 인도와 아세안(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 회의 의장국인 인도네시아와 각각 정상회담을 한 것도 비중있게 소개했다. 윤 대통령은 이들 국가가 '젊고 활력있는 인구와 방대한 시장을 보유한 인도-태평양 전략의 핵심 파트너 국가'라고 설명한 뒤 "인도-태평양 지역은 우리 기업들이 가장 역점을 두고 진출을 준비 중인 핵심 시장"이라고 말했다.

인도와는 우주과학 협력 추진 합의를 환기하며 "이러한 합의가 구체적 성과로 이어지려면 우주 분야의 협력을 주도할 우주항공청이 빠른 시일 내에 설립돼야 한다"며 우주항공청 설립 법안의 국회 통과를 촉구했다. 윤 대통령은 아울러 "경제 대외의존도가 세계에서 가장 높은 우리나라는 해외 시장을 안방처럼 누비고 다녀야 경제에 활력이 돌고 일자리가 생긴다"며 "수출과 기업의 해외 진출이 그래서 중요하다"고 재차 강조했다.

윤 대통령은 자유민주주의와 시장경제라는 일관된 국가기조를 강조하기도 했다. 윤 대통령은 "저는 취임 직후부터 늘 국내 국정운영과 대외 관계에서 자유민주주의와 시장경제 중요성을 강조해왔다"며 "일관된 국가 기조 없이는 국가 간 협력과 민간의 통상 관계가 불가능하다. 불합리한 정부 규제와 관여 그리고 예측불가능성은 기업의 투자와 교역을 꺼리게 만들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취임 이후 약 1년 4개월 동안 전 세계 50여 개 국가의 정상들과 만나 양자 회담을 했다"며 "앞으로 재임 중에 대한민국 국민과 기업이 진출해 있는 모든 나라의 정상들과 만나고 국민과 기업을 뒷받침할 것"이라고 밝혔다.
정재훈기자 jjhoon@yeongnam.com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정치인기뉴스

영남일보TV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

영남일보TV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