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국민의힘 한동훈 비상대책위원장이 3일 국회에서 열린 비대위 회의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
국민의힘이 '공천관리위원장'에 법조인 출신이 유력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공정한 공천심사와 법 조문 해석을 위해 법조인이 필요하다는 이유지만, 한동훈 비상대책위원장에 이어 공관위원장까지 정치 경험이 없는 법조인으로 채워진다는 점에서 우려의 목소리가 일고 있다.
3일 정치권에 따르면 국민의힘은 양창수 전 대법관을 비롯해 김용덕 전 대법관 등을 후보군으로 검토한 것으로 전해졌다. 한 위원장은 공관위에 대해 "공천하는 과정은 공정하고 멋져 보여야 하고 그 내용은 이기는 공천이어야 한다. 그 두 가지를 균형 있게 고려할 거고 그것을 충분히 해낼 분을 신중히 잘 고르겠다"고 언급한 바 있다.
양 전 대법관은 문재인 정부 시절인 2020년 한동훈 당시 검사장이 '검언유착' 의혹 사건에 연루됐을 때 검찰수사심의위원회 위원장을 맡은 바 있다. 당 일각에선 비대위원장에 이어 공관위원장까지 법조계 인사로 채워지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지적이 나온다. 윤석열 대통령과 한 위원장 모두 검찰에서 일했고 내년 총선 공천 문제를 관할하는 공관위원장까지 검사 배경을 가진 인사가 올 경우 모양새가 좋지 않다는 이유에서다. 때문에 국민의힘은 법조인 중 판사 출신 인사나 교수 경력의 학계 법조인 가운데 공관위원장을 물색할 것으로 알려졌다.
당 내부에선 법조인 중용에 엇갈린 해석을 내놓고 있다. 주류 의원들의 경우 앞서 패배했던 20·21대 총선의 경우 당 대표와 공천관리위원장의 불화가 참패의 원인으로 지적된 만큼, 이번에는 조화를 이룰 수 있는 법조인 출신이 맞다는 주장이다. 반면 야당이 '검찰 정부' 프레임을 강조하는 상황에서 빌미를 제공할 것이란 비판도 나온다. 이에 공관위원장 뿐만 아니라 공관위원 구성도 관심을 모은다. 공관위원은 10명 이내로 구성하고, 이 중 3분의 2는 당 외부 인사로 채워야 한다.
국민의힘은 다음 주 중 공관위원장과 공관위원 임명을 마칠 가능성이 높다. 국민의힘 당규는 공관위 구성 시점을 '총선 90일 전까지'로 규정하고 있는 만큼, 오는 11일 이전에는 공관위가 꾸려져야 하기 때문이다. 정재훈기자 jjhoon@yeongnam.com

정재훈
서울본부 선임기자 정재훈입니다. 대통령실과 국회 여당을 출입하고 있습니다.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