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원SMR클러스터' 조성…경주 기대-불안 교차

  • 정재훈
  • |
  • 입력 2024-02-22 18:15  |  수정 2024-02-22 18:17  |  발행일 2024-02-23
尹대통령 ""원전이 곧 민생…원전산업지원특별법 제정할 것"

SMR산단 들어서는 경주는 "산업 쏠립" 우려 속 시너지 기대
창원SMR클러스터 조성…경주 기대-불안 교차
윤석열 대통령이 22일 경남 창원시 경남도청에서 '다시 뛰는 원전산업 활력 넘치는 창원·경남'을 주제로 열린 열네 번째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이 22일 경남 창원을 찾아 '원전이 곧 민생'이라며 대대적인 원전 산업 육성 의지를 피력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경남도청에서 '다시 뛰는 원전산업, 활력 넘치는 창원·경남'을 주제로 14번째 '민생토론회'를 열고 이같이 밝혔다.
이날 윤 대통령은 최근 해외 원전 수주 성과를 언급하며 원전 산업계 지원 강화를 강조했다. 구체적으로는 "정부에서 5년간 4조원 이상을 원자력 연구개발(R&D)에 투입해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 개발을 뒷받침하겠다"고 설명했다.

 

윤 대통령은 또 "원전 산업이 계속 발전할 수 있도록 SMR(소형모듈원자로)을 포함한 원전산업특별법을 제정하겠다. '2050 중장기 원전 로드맵'을 금년에 수립하고 마무리 짓겠다"고 약속했다. 특히 "원자력은 에너지 안보상 굉장히 중요하다. 국민의 민생이라는 것을 따져보면 원전이 곧 민생"이라고 했다.


한편, 정부의 창원 SMR클러스터 지원 방침에 경북지역에서는 우려와 기대가 교차하고 있다. 경주에는 2030년까지 문무대왕면 일원에 150만㎡ 규모의 SMR 국가산업단지가 들어설 예정이다.


이번 결정으로 원전산업의 무게 중심이 경주·울진에서 경남 창원으로 옮겨갈 수 있다는 위기감이 높아지고 있다. 창원이 대기업 위주의 SMR 제조 관련 생산설비가 충분한 데다 R&D 지원이 더해질 경우 산업의 쏠림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이다.


이진구 경주시원전범시민대책위원장은 "SMR 등 미래 원자력 산업은 연구시설과 국가산단이 있는 경주가 중심이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반면, 창원 SMR클러스터와 경주 SMR산단의 시너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는 분석도 있다. 경주에 세계에서 보기 드문 원전의 전주기 인프라가 구축돼 있기 때문이다.


특히 SMR 연구개발을 위한 문무대왕과학연구소(혁신원자력 연구단지)가 조성되고 있으며, 지난해 SMR 국가산단으로 선정됐다. 즉 경주의 원전 인프라와 창원의 제조 기반이 힘을 합칠 경우 '소재·부품·장비 산업 육성 및 집적화→혁신원자로 제조→SMR 수출모델 공급망 구축'이라는 산업생태계를 구축할 수 있다는 것이다.


김남용 월성원자력안전협의회 위원장은 "윤 정부의 친 원전 정책에 따른 관련 특별법 제정과 SMR 등 연구개발 사업에 경주가 포함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송종욱기자 sjw@yeongnam.com 

정재훈기자 jjhoon@yeongnam.com

기자 이미지

정재훈

서울본부 선임기자 정재훈입니다. 대통령실과 국회 여당을 출입하고 있습니다.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정치인기뉴스

영남일보TV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

영남일보TV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