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대구로] 도청신도시, 경북의 미래가 되려면

  • 장석원
  • |
  • 입력 2025-05-14  |  수정 2025-05-14 11:17  |  발행일 2025-05-14
도청신도시, 경북의 미래가 되려면
전통문화 조화된 경북
북부권 경제는 낙후 지속
도청신도시 내실 부족
공공기관 이전 더뎌져
정치·행정 결단 필요해
[동대구로] 도청신도시, 경북의 미래가 되려면

[동대구로] 도청신도시, 경북의 미래가 되려면

경북은 문화뿐 아니라 경제에서 3대 축을 중심으로 지역은 물론 국가 발전의 틀을 이어왔다. 문화적인 측면에서는 안동을 중심으로 한 북부권 유교 문화권, 경주를 축으로 한 불교문화권, 고령·성주의 가야문화권이 서로 조화를 이루며 전통문화의 현대화를 추진해 왔다. 유교 정신문화, 신라 불교문화, 가야 고대사라는 뚜렷한 역사적 기반은 경북 문화의 저력을 떠받쳐 왔고, 이에 걸맞은 문화 인프라도 지역별로 비교적 잘 구축돼 있다. 이와 함께 전통문화 콘텐츠를 관광자원화하고 산업과 연결하는 데에도 일정 부분 성과를 내고 있다.

하지만 경제적인 측면에서는 전혀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다. 경북 북부권의 현실은 '조화' 보다는 '불균형'과 '부조화'에 가깝다. 수도권 집중에 따른 국가적 불균형 구조가 경북 내부에도 투영돼 동부권(포항)과 중부권(구미)은 잘 갖춰진 산업 기반과 교통망, 대도시와의 접근성 등을 바탕으로 꾸준히 성장한 반면, 북부권은 오랜 시간 '낙후지역'의 꼬리표를 떼지 못했다.

이 같은 불균형 속에 도청신도시는 경북도청 이전이라는 시대적 과업과 함께 태어났다. 행정구역은 안동시에, 생활권은 예천군에 걸쳐 있는 신도시는 계획 당시만 해도 낙후된 북부지역에 '경북의 미래'를 이끌 거점도시로 기대를 모았다. 기대는 시간이 흐를수록 실망으로 바뀌고 있다. 도시의 골격은 갖췄지만 내실은 부실하다. 인구는 목표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고, 자영업은 활력을 잃었다. 경제 순환이 일어나지 않는 도시는 '사람이 사는 공간'일 뿐 '살아 있는 도시'와는 거리가 멀다. 행정기능에만 지나치게 의존한 탓이다. 도청과 일부 산하기관, 공공청사만으로는 도시 경제를 떠받칠 수 없다. 근무지를 중심으로 주거지는 형성됐지만, 소비되고 생산되는 경제의 선순환 고리는 미약하기 그지없다. 상권은 기대와 달리 제자리를 맴돌고, 유입 인구는 적은 소비만 남긴 채 다시 빠져 나가는 형국이다.

도청신도시 침체에는 당초 약속했던 공공기관 이전의 지연과 회피도 한 몫을 하고 있다. 내년이면 경북도청이 안동·예천으로 이전한 지 10년이다. 그럼에도 도 산하 공공기관과 출자·출연기관은 대구 등 외부에 여전히 남아 있다. '도청 있는 도시'라는 명분만으로는 자족형 신도시가 될 수 없다. 실질적인 행정수요와 조직이 동반돼야 도시의 기능과 경제가 돌아간다.

더 이상 미뤄서는 안 된다. 경북도는 그간 약속했던 공공기관들의 도청신도시 이전에 대한 명확한 일정을 제시해야 한다. 도청만 있고 기관은 없는 구조로는 신도시는 결코 자족도시가 될 수 없다. 중심상가 가게 간판은 줄어들고 상가 공실률은 늘어만 가는 도청신도시의 상권은 위험 수위에 도달했다.

도청신도시가 경북의 미래 중심공간으로 자리 잡기 위해서는 각 자치단체가 경계를 내려놓고 같은 방향을 바라보는 노력이 필요하다. 행정의 구획이 다르다고 도시의 미래까지 분리될 수는 없다.

경북도청 이전 10년을 앞둔 지금 도청 신도시는 전환점에 서 있다. 기반시설만 좋은 신도시에 그칠지, 도민이 살아 숨 쉬는 미래형 도시로 도약할 지는 단체장을 포함한 정치권의 결단과 실행에 달렸다. 사람 중심, 참여 중심의 도시가 될 때 도청신도시의 내일은 '경북의 내일'로 연결될 수 있다.


기자 이미지

장석원

주변에서 일어나는 소소한 이야기와 다양한 영상·사진 등 제보 부탁드립니다.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인기뉴스

영남일보TV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

영남일보TV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