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3일 대구시청 본관 10층 대회의실에서 대구형 뉴딜 추진 방향에 대한 정책토론회가 열렸다.(대구시 제공) |
23일 오후 2시, 대구시청 본관 10층 대회의실에서 '대구형 뉴딜' 추진 방향에 대한 정책토론회가 열렸다.
대구시와 국가균형발전위원회, (사)대구사회연구소가 공동주최한 토론회는 '대구형 뉴딜, 성공의 조건'이란 주제로 민·관·학·연 전문가들이 지역·디지털·그린·휴먼 뉴딜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의견을 쏟아냈다.
정책토론회는 총론격인 '지역혁신을 위한 자치분권과 지역뉴딜'에 이어 '휴먼 뉴딜과 지역의 대응', '그린뉴딜과 지역의 대응', '디지털 뉴딜과 지역의 대응' 순으로 진행됐다.
이날 토론회에 참석한 정순기 경북대학교 IT대학 교수는 대구형 디지털 뉴딜정책을 주장하며 D(Digital), N(network), A(AI) 생태계를 강화하고, 교육 인프라를 디지털로 전환하며, 비대면 산업을 육성할 것을 제안했다. 세부 방안으로 대구시의 데이터 전주기 생태계 강화와 데이터 컨터롤 타워 마련, 대구전산업의 5G, AI 융합 확산, 초중고의 디지털 기반교육 인프라 조성, 대학과 직업훈련기관의 온라인 교육 강화, 스마트 의료 및 돌봄 인프라 구축 등을 제시했다.
이재천 계명대 미래형자동차산업 혁신대학사업단장은 고장 예지 및 안전 빅데이터 센터 구축과 데이터 분석 및 활용과 전문인력 양성 그리고 개방형 플랫폼 운영 전략을 제시했다.
이 단장은 "고장 예지 및 안전 데이터센터를 구축함으로써 지자체와 기업 등의 데이터 분석수요자로부터 빅데이터 분석 솔류션 전문기관과 연계할 수 있고, 헬스케어, 교육, 통신, 은행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김희대 대구테크노파크 모바일융합센터 센터장은 대구의 현재와 미래가 반영된 뉴딜정책으로 산업 뉴딜과 공간 뉴딜을 제안했다.
김 센터장은 "ICT를 기반으로 한 지역의 5대 미래산업을 육성하고, 전통산업 구조고도화 정책에 디지털 융복합이 절실하다"며 "축적된 대구자산을 활용한 플래그십 프로젝트를 발굴하여 지역주도형 뉴딜을 견인해야한다"고 덧붙였다.
지자체의 뉴딜 정책과 대응에 대한 비판도 나왔다.
은재식 우리복지시민연합 사무처장은 "지자체의 뉴딜 대응을 보면 우후죽순격으로 기존 숙원사업이나 민원을 뉴딜로 포장하거나 기존 경제정책의 재탕일 가능성이 높고, 뉴딜이 새로운 사회적 협약인데도 성격상 경제와 성장에 종속돼 있다"고 비판했다. 이어 "전국민고용보험 도입, 비상경제회의 비상사회경제회의로의 확대개편 등을 주장하며 노동위기에 대한 심도깊은 고민과 사회안전망의 강화가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홍의락 대구시 경제부시장은 "이번 대토론회로 민·관·학·연이 함께 참여해 대구형 뉴딜을 완성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서정혁기자 seo1900@yeongnam.com

서정혁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