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중립 가는 길] 대구는 대중교통, 경북은 철강업이 관건

  • 임훈
  • |
  • 입력 2022-04-17 17:56  |  수정 2022-04-18 07:30  |  발행일 2022-04-18 제18면
2022041801040006301.jpg
대구 도심을 가르는 도시철도 3호선 모노레일 전동차. 대구의 탄소배출을 줄이려면 대중교통 활성화에 따른 수송부문 탄소배출 감소가 필수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영남일보 DB〉
새 정부 출범을 앞두고 대구경북의 탄소중립 정책방향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윤석열 정부의 탄소중립 정책이 현 정부와 온도차를 보일 것이란 전망이 있지만, 탄소배출 감축은 시대적 화두이자 국제사회와의 약속이어서 새 정부에서도 탄소중립 정책이 이어질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국제사회는 이미 탄소중립에 가속도를 붙였다. 미국은 지난해 바이든 대통령이 취임하자마자 파리기후협약에 복귀, 탄소 중립에 동참했다. 유럽연합(EU)도 탄소 배출을 줄이지 않은 제품에 일종의 관세를 부과하는 '탄소국경조정제'를 확대할 전망이다. 국내에서도 지난 3·9 대선에서도 탄소중립은 화제였다. 기업의 사용 전력 100%를 신재생에너지로 충당한다는 'RE100'이 관심을 끌었다.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역시 원자력발전소 가동률 상향을 공식화하면서 탄소중립은 산업분야 이슈의 중심에 섰다.


특히 EU 등 글로벌 시장에서 한국산 제품이 우위를 점하려면 탄소 배출 감소가 전제되어야 하는 만큼 대구경북의 탄소중립도 중요하다. 제대로 대응하지 못하면 지역 산업경쟁력 약화가 불가피하다. 이에 대구경북연구원(이하 대경연)이 조사·연구한 '대구경북 2050탄소중립계획(안)'을 바탕으로 지역의 탄소중립 현황 및 계획을 들여다봤다.

◆2050년까지 탄소배출 '0'에 도전
2018년 기준 국제사회에서 우리나라의 온실가스 배출 순위는 UNFCC(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중 11위였다. 이 기간 우리나라의 최근 5년 간 탄소 배출량은 7억2천800만t으로 꾸준한 증가세다. 하지만 지난해 8월 31일 '탄소중립 녹색성장 기본법' 국회 통과로 우리나라는 2030년까지 탄소배출을 35% 이상 줄여야 한다. 정부의 중장기 탄소 감축 목표도 2030년까지 탄소 배출량을 현 배출량의 60% 수준까지 줄이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2050년까지 탄소배출 제로 시대를 열겠다는 게 정부의 계획이다. 대구경북은 국제 기준의 탄소배출 제약을 따를 필요는 없지만 산업 경쟁력 강화 차원에서 온실가스 감축에 적극 나서는 모양새다.


탄소 중립 도시를 표방하는 대구시는 친환경 산업생태계 구축에 주력하고 있다. 에너지 효율을 높이고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는 '로봇' '스마트 시티' 등 '5+1신산업' 육성책도 정부의 탄소중립 정책과 부합한다는 평가다.

◆대구는 수송부문 탄소배출 감소 주력해야
대구의 탄소중립 현실은 녹록지 않다. 2016년 이후 대구의 탄소 배출량은 감소했지만, 최근 추세를 보면 2050년까지 약 30%의 탄소 배출량 증가는 불가피하다. 1990년 769만4천t이었던 대구의 탄소 배출량은 2018년 903만1천t으로 18.5% 증가했다. '대구경북 2050탄소중립계획(안)'에 따르면 대구는 2030년까지 2018년 대비 탄소배출 45% 감축, 2050년까지 탄소배출 '0' 시대를 열어야 한다.


대구가 효과적 탄소배출 감축을 실행하기 위해선 시민 동참이 필수다. 인구 240만명의 대도시인 대구는 수송 부문 탄소 배출량이 전체 배출량의 39%(2018년 기준)를 차지하고 있어서다. 남광형 대경연 선임연구위원은 "대구 탄소 중립을 위해선 저탄소 교통수단인 대중교통 활성화가 필수다. 대중교통의 획기적 변화를 이끌어 내려면 시민 참여가 관건"이라고 말했다.


도심 내 생산지역과 주거지의 불일치를 해소해야 것도 숙제다. 시민 이동 거리가 줄어야 탄소배출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어서다. 이미 달성군 대구테크노폴리스와 수성구 알파시티에는 도심산업단지가 둥지를 텄다. 향후 대구시는 제2국가산단 등 첨단산업 위주의 도심 산단을 추가 조성할 계획이어서 탄소중립에 도움을 줄 것으로 보인다.


'착한 소비' 확산 및 '친환경 산업생태계 조성'도 중요하다. 지역 소비자들이 다소 고비용이 들어도 친환경 제품을 소비해야 제조·서비스업 분야에서 친환경 시장이 형성된다는 논리다. 남 연구위원은 "탄소 중립 과정에서 시민과 기업의 고충이 동반될 것이다. '착한 소비'는 시장 논리와 반대지만, 소비자 인식이 바뀌지 않으면 친환경 산업생태계 조성은 늦어진다"고 지적했다. 10여 년 전 대구 태양광 업계가 어려움을 겪은 게 대표적이다. 그는 "당시 태양광 기술이 설익은 상황에서 시장 형성이 힘들었고 외국 제품들이 시장을 잠식하면서 큰 어려움을 겪었다"며 "시민은 인식 전환을, 지자체는 공감대를 이끌어 낼 정책개발을, 산업계는 신재생에너지 기술력 확보에 주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경북은 철강산업 탄소배출 감소가 관건
경북지역은 중화학 부문의 탄소배출이 집중된 가운데 특히 철강산업의 탄소 배출 감소가 탄소 중립의 열쇠가 될 것이란 분석이다. 산업단지가 많은 경북지역 특성상 열병합 발전 등에 사용되는 연료나 공정을 바꿔 탄소배출을 줄이는 것도 효과적 대응책으로 제시됐다. 현행 방식으로 생산된 고탄소 제품만 고집한다면 향후 글로벌 시장 진출이 어려워져 지역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것이란 전망도 함께 나왔다. 경북도 전체 탄소 배출량의 32%를 차지하는 수송 부문 탄소배출 감축 필요성이 제기됐다.


대경연에 따르면 1990년 2천484만2천t이었던 경북의 탄소 배출량은 2018년 7천598만3천t으로 206% 증가했다. '대구경북 2050탄소중립계획(안)'을 보면, 경북은 2030년까지 2018년 대비 탄소배출 40% 감축, 2050년까지 탄소배출 '0' 시대를 맞이해야 한다.


탄소감축 실행은 만만치 않은 과제다. 철강 등 주요 산업 분야에서 탄소배출을 줄이지 못하면 향후 어려움에 직면할 가능성이 크다. 하지만 산업계의 경우 급격한 탄소배출 감축에 현실적 어려움이 있어 지역경제 침체에 대한 우려도 적잖다.


이 때문에 경북의 탄소중립은 기존 탄소배출을 줄이는 것은 물론 탄소 흡수원 확보 등 다양한 방법을 모색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지속 가능한 탄소 흡수원인 산림자원의 관리가 구체적 대안으로 거론되고 있다. 우선, 탄소 흡수 능력이 뛰어난 수종의 나무를 심는 등 산림자원을 늘려야 한다. 또한 산불 예방으로 탄소 흡수원을 적극 보호하는 방안도 필요하다. 남 연구위원은 "최근 우크라이나 사태로 에너지와 관련된 각국의 복잡한 이해관계가 표출되면서 신재생 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대구경북 또한 이러한 기조에 발맞춰 탄소중립 정책을 추진하고 산업 경쟁력을 확보해야 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임훈기자 hoony@yeongnam.com 

기자 이미지

임훈 기자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경제인기뉴스

영남일보TV





영남일보TV

더보기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