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국힘 단체장 경선 '현역불패'…행정혁신 가능하겠나

  • 논설실
  • |
  • 입력 2022-05-06   |  발행일 2022-05-06 제23면   |  수정 2022-05-06 07:12

국민의힘 대구지역 기초단체장 경선 결과는 예상했던 대로 '현역불패'였다. 현직 단체장이 컷오프된 동구와 3선 연임제한으로 무주공산이 된 달성군을 제외하곤 모두 현역이 낙점됐다. '그 얼굴이 그 얼굴'이란 박한 평가는 점잖은 편이다. '12년 보장'이란 냉소까지 나온다. 대구경북에서 국민의힘 간판으로 기초단체장에 입성하면 사실상 12년 꽃길이 보장된다.

현역의 압도적 우위는 지명도가 승패를 좌우하는 기계적·도식적 경선에서 비롯된다. 정치신인이 설 공간은 좁고 한계는 뚜렷하다. 쉽사리 현직 단체장의 벽을 넘을 수 없다. 책임당원 50%, 국민여론 50%을 반영하는 경선 방식에 대한 고민이 그래서 필요하다. 여론조사 대상인 주민 1천명이 시대적 요구를 얼마나 투영하는지도 미지수다.

이제 지자체도 AI휴먼, 메타버스, 블록체인을 선점하고 활용하는 디지털 행정이 필수다. 그러려면 변화와 혁신 DNA가 지자체 행정에 녹아들어야 한다. 경선 '현역불패' 등식은 변화와 혁신에 걸림돌이 될 소지가 크다. 조직과 인적 구성이 변하지 않으면 기존 관행과 루틴에서 벗어나기 어렵기 때문이다.

변화와 혁신을 창발할 단체장이라면 현직이라도 굳이 배제할 이유는 없다. 함량 미달 단체장이 현역 프리미엄으로 연임되는 게 문제다. 차제에 기초단체장 경선 방식을 전향적으로 검토해야 한다. '12년 보장'이란 구각을 깨뜨리는 건 시대적 소명이다. 지역 국회의원의 경선 영향력을 제한하는 방안도 고민해야 마땅하다. 대구경북에선 지역 국회의원과 단체장 후보가 알력을 빚으면서 잇단 공천 잡음을 야기했다. 아예 기초단체장과 기초의원에 대해 정당공천을 하지 않는 건 어떤가. 정치제도 혁신 없이 행정 혁신은 불가능하다.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오피니언인기뉴스

영남일보TV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

영남일보TV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