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정부 출범] 대통령 취임식서 美·中·日·러 '4강 외교'

  • 입력 2022-05-10   |  발행일 2022-05-10 제3면   |  수정 2022-05-10 07:16
고위 외교 사절 연이어 접견

한반도 주변 정세 긴밀 논의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10일 열리는 취임식을 계기로 주요국과의 외교전에 본격 시동을 건다. 취임과 함께 국제 외교무대에 공식 데뷔하는 윤 당선인은 축하사절단으로 방한한 각국의 고위 외교사절을 연이어 접견한다. 특히 북한의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 발사 등 잇단 무력 시위로 한반도 정세를 둘러싸고 긴장감이 한층 높아진 상황인 만큼, 새 정부와 미·중·일·러 등 한반도 주변 4강의 외교 움직임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윤 당선인은 취임식 후 축하 사절단을 이끌고 방한한 미국의 '세컨드 젠틀맨'인 더글러스 엠호프 변호사와 중국의 왕치산 국가 부주석, 일본의 하야시 요시마사 외무상 등을 차례로 만날 예정이다.

미·중·일 사절단의 접견 순서는 아직 알려지지 않았다.

미국에서는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의 남편으로 '세컨드 젠틀맨'인 엠호프가 9일 사절단을 이끌고 방한한 것으로 알려졌다. 통상 대통령 취임식에 미 국무장관이나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이 참석했으나, 미국은 한미정상회담이 임박한 점을 고려해 '백악관 패밀리'라는 상징성을 지닌 인사를 보낸 것으로 여겨진다.

시진핑 국가주석의 특별대표 자격으로 방한한 왕 부주석은 역대 대통령 취임식에 참석한 중국 인사 중 최고위급이다. 왕 부주석도 이날 특별기편으로 한국에 도착했다.

기시다 후미오 총리의 특사로 취임식에 참석하는 하야시 외무상은 2018년 6월 이후 약 4년 만에 한국을 찾는 일본 외교수장이다. 이날 오후 입국한 하야시 외무상은 윤 당선인과의 면담에서 기시다 총리의 취임 축하 친서를 전달할 예정이다.

러시아에서는 별도의 외교사절이 방한하지 않고 안드레이 쿨릭 주한 러시아 대사가 참석할 예정이다. 우크라이나 침공에 따른 한러관계 악화 등이 배경이 된 것으로 보인다.

이밖에 할리마 야콥 싱가포르 대통령, 포스탱 아르제 투아데레 중앙아프리카공화국 대통령이 참석한다. 윤 당선인은 이들과 회동하며 본격적인 정상외교를 시작할 것으로 보인다.
연합뉴스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정치인기뉴스

영남일보TV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

영남일보TV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