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자율차법은 레벨3를 '부분 자율차', 레벨4∼5를 '완전 자율차'로 구분하고 있다. 국토부 제공. |
이르면 오는 10월부터 대구에 '자율주행 모빌리티 서비스'가 단계적으로 도입된다. 카카오모빌리티·KT 등이 사업자로 참여해 대구 테크노폴리스와 국가산업단지 등에서 부분 자율차로 구분되는 레벨 3 자율주행차가 운영될 예정이다.
국토교통부는 24일 "'자율주행 모빌리티 서비스 사업'을 공모해 24일 오토노머스에이투지와 아이티텔레콤이 주관하는 컨소시엄(연합체)을 각각 최종사업자로 선정했다"라며 이같이 밝혔다.
이번 공모사업은 민간의 자율차 기반의 모빌리티 프로젝트에 대해 2년간 80억 원(1·2차년도 각 40억 원)의 보조금을 지원하는 사업으로, 국민 체감형 자율주행 서비스를 제공함과 동시에, 스타트 기업 및 중소기업에 자율주행 실증 기회를 부여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사업자로 선정된 2개 컨소시엄의 주요 서비스를 살펴보면 오토노머스에이투지 컨소시엄은 대구 테크노폴리스와 국가산업단지를 배경으로 여객(수요응답형)·물류(배송서비스)를 통합 서비스할 수 있는 차량 플랫폼 및 관련 통신 인프라 기반을 마련한다.
아이티텔레콤 컨소시엄은 제주공항 인근의 주요 관광 거점을 연계하는 순환형 자율주행 관광셔틀 서비스, 공항-중문호텔 간 캐리어 배송 서비스, 대중교통 셔틀버스 서비스를 제공한다.
사업 기간 동안 총 11대 내외의 레벨3 자율차(아이오닉, 쏠라티 등)가 제작·운영될 예정이다. 기본적으로 자율주행 서비스를 제공하지만 돌발상황 발생 등에 대비해 전문적으로 훈련받은 안전요원이 탑승한 상태에서 운행된다.
사업 과정에서 제작된 자율차는 사업 종료 시 국가가 환수해 각종 시험운행, 데이터 수집 등의 용도로 산업계·학계·연구기관 등에 대여하는 등 지속적인 모빌리티서비스 제공을 위해 활용될 예정이다.
국토부는 "이달 중 국토부와 컨소시엄 간 구체적인 사업계획 협약을 체결하고 본격적으로 사업을 추진해 6월부터 자율차 제작 및 인프라 구축에 돌입할 계획"이라며 "올해 하반기에는 자율주행 모빌리티 서비스를 본격적으로 개시할 수 있도록 차질없이 사업을 추진해 나갈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구경모기자 chosim34@yeongnam.com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