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 옥산서원 무변루’ 보물 된다…450년 전 지은 2층 문루

  • 송종욱
  • |
  • 입력 2022-05-26 17:09  |  수정 2022-05-26 17:09  |  발행일 2022-05-26
조선 시대 유교 교육 공간으로 이용…현판은 한석봉 글씨
‘경주 옥산서원 무변루’ 보물 된다…450년 전 지은 2층 문루
경북 경주 옥산서원 무변루. <문화재청 제공>

유네스코 세계유산 ‘한국의 서원’ 중 한 곳이자 사적인 경북 경주 옥산서원(玉山書院)의 중층 문루(門樓) ‘무변루(無邊樓)’가 보물로 지정된다.

문화재청은 1572년 옥산서원 창건 때 함께 세워진 경주 ‘옥산서원 무변루'를 국가지정문화재 보물로 지정 예고한다고 26일 밝혔다.

옥산서원은 경주 양동마을에서 태어난 조선 중기 문신 회재 이언적(1491∼1553) 선생을 모시기 위해 설립됐으며, 무변루는 정문인 역락문 안쪽에 있다.

무변루는 정면 7칸, 측면 2칸 건물로, 옆에서 보면 ‘ㅅ’자 모양인 맞배지붕을 올렸다.

아래층은 출입문으로 사용하고, 위층은 지역 유생 교육 장소로 이용했다.

1792년 ‘어제제문(御製祭文), 1905년 ‘을사년 옥산서원 통문’ 등 문헌에는 무변루가 토론, 휴식, 모임, 숙식 공간으로 이용했다는 기록이 있다.

역사적으로는 경상도 동부지역에서 사대부들이 공론을 주도한 곳이었다.

사람들이 머물 수 있도록 2층에는 대청마루를 중심으로 양쪽에 온돌방을 두고, 온돌방 옆 가장자리에는 난방이 되지 않는 누마루를 설치했다.

지붕 기와에는 ‘숭정(崇禎·1637년)’, ‘건륭(乾隆·1782년)’, ‘도광(道光·1839년)’ 등 중국 연호가 새겨져 있어 수리 이력을 정확하게 알 수 있다.

무변루의 본래 명칭은 ‘납청루(納淸樓)’로 불렀으나, 이언적 선생의 제자이자 선조 재위기인 1585년 영의정에 오른 노수신이 현재 이름으로 바꿨다고 전한다.

무변은 북송 유학자 주돈이의 글 ‘풍월무변(風月無邊)’에서 유래됐고, ‘경계를 없애는 곳’을 뜻한다. 현판은 당대 명필 석봉 한호가 썼다.

문화재청 관계자는 “무변루는 450년 전 지어진 이래 한자리를 지켰고, 유교 문화 창달과 지식 보급에 이바지해 역사·건축 측면에서 가치가 있다.”라며 “중수 연대를 명확히 알려주는 명문(銘文) 기와가 존재하는 것이 특징이다.”라고 설명했다.

문화재청은 예고 기간 30일간 각계 의견을 수렴한 뒤 문화재위원회 심의를 거쳐 옥산서원 무변루의 보물 지정 여부를 결정한다.


송종욱기자 sjw@yeongnam.com

기자 이미지

송종욱

경주 담당입니다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사회인기뉴스

영남일보TV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

영남일보TV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