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합뉴스. |
지난 12일 열렸던 국토교통부와 민주노총 화물연대의 4차 협상이 결렬됐다. 화물연대는 협상 결렬의 책임을 국민의힘으로 돌리며 총파업을 지속하겠다는 입장이다.
국토부는 13일 "화물연대와 12일 14시부터 22시 30분까지 물류 정상화를 위한 방안에 대해 논의했으나, 합의점을 찾지 못했다"라고 밝혔다.
앞서 화물연대와 국토부는 12일 오후 2시부터 정부세종청사에서 제4차 협상을 벌였다. 정부 측에서는 국장급인 국토교통부 물류정책관이, 화물연대에서는 수석부위원장이 나와 안전운임제 확대 등 안건을 놓고 대화했지만 합의점을 찾지 못했다..
국토부는 협상 결렬의 원인에 대해선 "화물연대가 안전운임제 일몰제 폐지 및 품목 확대에 대한 대안을 제시했으나 국토부는 검토 결과 수용이 곤란해 대화가 중단됐다"라며 "앞으로도 사태를 조속히 해결하기 위해 계속 화물연대와 대화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반면 화물연대는 협상 결렬의 책임이 국민의힘에 있다고 주장했다.
화물연대는 이날 오전 입장문을 발표하며 "국토부에서 제시한 대로 국민의힘, 화주단체를 포함해 '안전운임제를 지속 추진하고 품목 확대에 대해 적극적으로 논의할 것을 약속한다'는 잠정안에 합의했다"며 "그러나 최종 타결 직전 국민의힘이 돌연 잠정 합의를 번복했다"라고 강조했다.
이어 "국토부는 화물연대와의 대화를 통해 이 사태를 해결할 의지가 없고, 국민의힘은 집권 여당으로서 책임질 의지가 없다는 것이 확인됐다"며 "화물연대는 더 강력한 투쟁으로 무기한 총파업을 지속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따라 납기 지연 등 산업계의 피해는 더욱 커질 전망이다. 산업계에 따르면 육상 물류가 막히고 항만 운영이 차질을 빚으면서 석유화학 제품은 하루 출하량이 평소 대비 10% 수준까지 급감했고, 중소 철강사들은 철강재를 공급받지 못해 납기 지연이 속출하고 있다.
구경모기자 chosim34@yeongnam.com

구경모
정부세종청사 출입하고 있습니다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