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화물연대의 총파업 8일째인 14일 오후 경기도 의왕시 내륙컨테이너기지(ICD)에서 열린 5차 실무교섭에서 국토교통부와 협상을 마친 화물연대 김태영 수석부위원장(가운데) 등이 회의실을 나와 브리핑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
국토교통부와 민주노총 화물연대가 14일 열린 5차 교섭에서 극적으로 합의에 성공했다. 이로써 화물 연대는 총파업 돌입 7일만에 파업을 철회하고 현업에 복귀한다.
국토부와 화물연대는 이날 오후 8시부터 10시40분쯤까지 진행된 5차 교섭에서 이 '안전운임제 연장·후속 논의'라는 타협점을 찾았다.
협상 결과에 따라 국토부는 안전운임제를 내년 이후에도 계속 시행키로 하고, 화물연대는 15일부터 집단 운송 거부를 중단하고, 물류 수송을 재개한다.
합의문에는 △국회 원 구성이 완료되는 즉시 안전운임제 시행 성과에 대한 국회 보고 △컨테이너·시멘트 화물자동차 안전운임제 지속 추진 및 품목 확대 △최근 유가 상승에 따른 유가보조금 제도 확대 검토 및 운송료 합리화 지원·협력 △화물연대 즉시 현업 복귀 등의 내용이 담겼다.
화물연대는 협상 타결 후 보도자료를 내고 "안전운임제 지속 추진에 대해 합의했다"며 "더불어 안전운임 적용 품목 확대에 대한 논의를 이어가기로 합의했다"라고 밝혔다.
화물연대는 "이에 화물연대는 총파업 투쟁을 유보하고 16개 지역본부별로 현장 복귀할 예정"이라고 했고, 국토부도 "정부도 물류기능이 조속히 정상화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약속했다.
한편 화물연대의 총파업으로 자동차, 철강, 석유화학, 시멘트 등 주요 업종에서 총 1조5천868억원 상당의 생산·출하·수출 차질이 발생한 것으로 파악됐다.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부문별 피해액은 철강업계 6천975억원, 석유화학업계 5천억원, 자동차업계 2천571억원, 시멘트업계 752억원, 타이어업계 570억원 등이다.
구경모기자 chosim34@yeongnam.com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