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추경호 경제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기재부 제공. |
추경호 경제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16일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기준금리를 한 번에 0.75%포인트 인상하는 '자이언트 스텝'을 밟은 것과 관련해 "국제금융시장 변동 확대가 우려된다"라고 밝혔다.
추경호 부총리는 이날 열린 비상거시경제금융회의에서 "우리경제가 직면한 복합 위기를 타개하기 위해 적극적인 대응에 나서겠다"라며 이같이 말했다.
추 부총리는 "미국 연준의 큰 폭 기준금리 인상과 함께, 우크라이나 사태 장기화, 공급망 차질 등이 중첩되면서 현 경제상황이 복합적 위기이며, 상당기간 어려움이 지속될 것"이라고 진단했다.
앞서 16일 새벽 미국 연준은 기준금리를 75bp(1bp=0.01%포인트) 인상하고, 파월 의장은 향후 추가적으로 50bp 또는 75bp 인상을 고려한다고 발언한 바 있다.
추 부총리는 "앞으로 긴축 가속화에 따른 경기둔화 우려가 부각되면서 국제금융시장 변동성이 확대될 우려가 상존하고 있다"라며 "정부와 중앙은행은 비상한 경계감을 가지고 대응해 나갈 필요가 있다는 점에 공감대를 형성했다"라고 설명했다.
이에 정부와 중앙은행은 크게 3가지 방향에서 적극 협력하고 공동 대응하기로 했다. 추 부총리는 "첫째, 물가 안정이 가장 시급한 현안이라는 공통된 인식아래, 총력을 다해 대응하기로 했다"라고 전했다.
물가에 보다 중점을 둔 통화정책 운용과 함께, 공급측면의 원가부담 경감, 기대 인플레이션 확산 방지 등 다각적 대응노력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추 부총리는 "둘째, 금융·외환시장의 불확실성이 높아진 만큼 불안심리가 확산되지 않도록 공동 대응노력을 강화해 나갈 방침"이라고도 소개했다.
이에 따라 정부는 원화의 과도한 변동성에 대해 각별한 경계감을 유지하면서 심리적 과민반응 등으로 쏠림 현상이 심화되지 않도록 노력하고, 채권시장이 과도하게 반응할 경우 정부의 긴급 바이백, 한은의 국고채 단순매입 등을 적절한 시점에 추진할 예정이다.
추 부총리는 "셋째, 금융기관의 건전성 등 경제·금융여건 악화시 불거질 수 있는 잠재적 위험요인들에 대해서도 관리해 나가기로 했다"라고 강조했다.
구경모기자 chosim34@yeongnam.com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