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정개혁 강조한 홍준표 당선인 '인적쇄신·조직개편' 규모에 촉각

  • 노진실
  • |
  • 입력 2022-06-22  |  수정 2022-06-22 11:46  |  발행일 2022-06-22 제2면
시정개혁 강조한 홍준표 당선인 인적쇄신·조직개편 규모에 촉각
대구시청 전경. 영남일보DB

홍준표 대구시장 당선인의 취임이 일주일여 앞으로 다가오면서 '홍준표식' 조직 개편과 인적 쇄신 규모에 관심이 쏠린다. 홍 당선인이 '시정 개혁'을 강조한 데다, 최근 연일 자신의 SNS에 '정무직 공무원'을 겨냥한 인적 쇄신 관련 글을 올리면서 공직사회 안팎의 주목을 받고 있기 때문이다.

21일 대구시에 따르면 권영진 시장이 임명한 부시장을 비롯한 비서실장 등 별정직 등 10여 명은 권 시장 퇴임과 함께 퇴직할 예정이다. 지방공무원 인사규정에 따라 별정직 공무원은 임용 당시의 지자체장이 임기만료로 퇴직하면 함께 면직된다.

대구시에서 정무직 공무원은 임기가 정해진 시장과 자치경찰위원장, 자치경찰위 사무국장 등이 있다. 시장의 경우 이달 말 임기가 만료되고, 자치경찰위원장은 지난 달 사퇴한 바 있다.

이에 홍 당선인의 인적 쇄신·조직 개편은 대구시 산하 공공기관 통·폐합과 시정 개혁을 통해 집중적으로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현재 시 산하에는 4개 공사·공단과 14개 출자·출연기관이 있다. 이들 기관의 기관장들도 임기가 정해져 있고 자체 법률의 적용을 받기 때문에, 기관장이 자진 사퇴를 하지 않는 이상 인위적인 인적 쇄신이나 개편은 어렵다.

하지만 홍 당선인 측에서 공공기관 통·폐합을 추진하고 있는 만큼, 통·폐합에 따른 기관장 자리 축소 등은 가능하다. 여기다 윤석열 대통령이 21일 '공공기관 혁신'에 대한 강한 의지를 드러내면서, 홍 당선인의 '공공기관 개혁' 방침도 더욱 명분을 얻을 가능성이 높다.

공공기관 통·폐합 윤곽을 잡아가고 있는 대구시장직 인수위원회 측이 '강한 변화'를 예고하고 있는 만큼, 기능이 유사한 대구시 공공기관의 통·폐합 규모는 상당히 클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한편 홍 당선인은 지난 20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올린 글에서 "담대한 변화의 출발은 인적 쇄신에서 시작된다"며 "주도 세력이 바뀌었는데 임기를 내세워 자리를 지키려고 하는 것은 담대한 변화에 대한 저항이고 기득권 고수에 불과하다"고 주장했다. 그는 앞서 지난 19일에도 페이스북에 정무직 공무원을 겨냥한 글을 올리며 "진정한 리더라면 진퇴가 분명해야 하고 처신이 깔끔해야 한다. 그건 중앙이나 지방이나 똑같다"라고 했다.

해당 글은 문재인 정부 때 임명된 인사들을 두고 쓴 것으로 보이지만, 한편으로는 대구시 산하 공공기관장 등을 염두에 둔 것이 아니냐는 해석도 나왔다.

앞서 홍 당선인은 "선거 공신들 자리 만들어 주려고 인위적으로 만든 그런 조직은 통·폐합 검토가 필요하다"라는 취지의 발언을 하기도 했다.


노진실기자 know@yeongnam.com

기자 이미지

노진실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사회인기뉴스

영남일보TV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

영남일보TV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