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맑은 물 하이웨이 전면 재검토”…다시 해평으로?

  • 구경모(세종)·권혁준
  • |
  • 입력 2025-07-03 21:54  |  발행일 2025-07-03

수질·경제성 문제로 철회 시사

해평 이전 땐 취수량 확대 관건


금한승 환경부 신임 차관, 연합뉴스.

금한승 환경부 신임 차관, 연합뉴스.


대구시민이 먹는 물을 안동댐에서 취수하는 '맑은물 하이웨이' 사업이 원점에서 재검토될 전망이다. 금한승 신임 환경부 차관이 특정 대안에 매몰되지 않고 전면 재검토하겠다는 입장을 밝힌 가운데, 최근 영남일보와 만난 대구시 고위 관계자 역시 "(전임) 홍준표 시장의 퇴진으로 안동댐 직수안의 추진 동력은 상당히 상실됐다. 환경부도 기존의 구미 해평 취수원 이전 방안을 더 선호한다"며 맑은물 하이웨이 사업의 철회 가능성을 시사했다. 이에 따라 대구 취수원 이전 사업은 돌고 돌아 다시 구미 해평으로 이전하는 방안이 유력해졌다는 분석이 나온다. 하지만 안동댐 이전론도 여전히 만만찮다. 3면에 관련기사


앞서 금한승 차관은 지난 1일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에서 '안동댐 취수안(案)이 기존 구미 해평 취수안보다 1조원이 더 들고 반대 의견도 크다'는 더불어민주당 임미애(비례대표) 의원의 지적에 대해 "안동댐과 구미 해평취수원 이전 모두 이해관계자와 지자체 간 이견이 상당하다. 특정 대안에 매몰되지 않고 전면 재검토하겠다"고 밝혔다. 또 임 의원이 "해평취수장과 일선교(구미보 상류) 간 거리가 12㎞밖에 되지 않는다. 이 대안도 포함해 책임감을 가지고 해결해 달라"고 주문하자, 금 차관은 "제시된 모든 방안에 대해 가능성을 열어두겠다. 지자체에 물 문제를 맡겨두지 않고 중앙정부가 개입하겠다"고 했다.


당초 환경부는 2022년 대구시·경북도·구미시와 '취수원 다변화 협정'을 맺고 해평 취수원을 대구의 대체 원수 공급지로 지정했다. 하지만 홍준표 대구시장이 취임 이후 석연찮은 이유로 방향을 틀면서 사실상 협정이 깨졌다. 이후 대구시는 안동댐을 대안으로 내놨다. 하지만 당시 환경부 관계자는 영남일보와 통화에서 "이미 국가사업으로 확정된 것으로 변경할 수 없다"고 강하게 반발했다. 환경부는 해평이 수질 관리와 경제성 면에서 유리하다는 입장을 드러낸 것으로 전해졌다.


실제 구미 해평과 안동댐을 놓고 비교하면 이전 비용에서 큰 차이가 예상된다. 임미애 의원은 "안동물은 안 된다고 본다. 일단 비용이 1조1천억원가량 더 든다. 구미를 취수원으로 하면 전체 비용이 8천억원이 조금 덜 되는데, 안동을 취수원으로 하면 1조8천억원 정도 든다"고 주장했다. 식수로써의 적절성 논란도 있다. 국민의힘 권영진(대구 달서구병) 의원은 "안동댐물의 경우 식수로 적절한지 등 수질에 대한 판단이 된 다음 대구까지 정말 끌어올 수 있느냐의 판단이 돼야 한다"면서 "돈도 돈이지만 지하수 생태계 파괴 문제도 고려해야 한다"고 했다.


하지만 구미 해평의 경우 대구의 상수도 필요 취수량에 크게 미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대구시는 구미 해평으로 이전할 경우 24만t이 부족한 것으로 파악했다. 만약 환경부가 구매 해평으로 U턴한다면 구미시 설득과 취수량 확대는 정부 몫이 돼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는 이유다. 국민의힘 유영하(대구 달서구갑) 의원은 "해평취수원은 구미시와 협의가 필요한데 과연 협의가 잘 될 것이냐는 문제가 있다"며 "신공항이 들어서면 신공항에 엄청난 양의 식수가 필요하게 된다. 그것은 안동댐에서 갖고 오는 게 맞다"고 했다. 그러면서 "취수원 이전 문제는 지자체에 맡겨 둘 것이 아니라 정부가 주도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대구시는 일단 정부의 재검토를 지켜보겠다는 입장이다. 대구시 한 관계자는 "대구시의 정책방향은 최대한 빨리 대구시민에게 깨끗하고 안전한 물을 공급하는 것"이라며 대구 취수원 문제 해결이 국정과제로 반영되길 바란다"고 했다.



기자 이미지

구경모(세종)

정부세종청사 출입하고 있습니다
기사 전체보기
기자 이미지

권혁준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정치인기뉴스

영남일보TV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

영남일보TV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