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당국이 금리 상승기 취약층 대출 부실 확대를 막기 위해 고금리 대출을 연 최대 7% 금리로 갈아탈 수 있도록 지원한다.
10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위원회는 최근 비은행 고금리 대출을 저금리로 대환하는 소상공인 맞춤형 지원 방안을 마련했다. 대출금리 상승으로 이자 부담이 늘고, 물가 상승과 경기 침체 등에 따른 부실 위험 확대를 막기 위해서다. 금융위는 대출 금리가 0.25%포인트 오르면 가계의 연간 이자 부담은 3조3천억원이 증가할 것으로 본다.
우선 비은행 고금리 대출을 낮은 금리 대출로 갈아타는 자영업자 및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대환 대출 금리를 최대 연 7% 수준으로 지원한다. 오는 9~10월 시행될 예정이며 전환 한도는 약 5천만원 수준이다. 이를 위해 대환대출 지원 규모를 7조5천억원→8천5천억원으로 늘린다.
또 금융당국은 부실 우려가 있는 소상공인 대출자에게 상환 일정 조정, 금리·원금 감면 등 채무 조정을 지원한다. 부실 우려 대출자에게 중신용자 대출 금리 수준으로 조정해주고, 거치 기간은 최대 3년 및 최대 20년 장기·분할 상환을 유도한다. 신용 채무는 최대 90%까지 원금 감면을 지원할 예정이다. 최저 신용자가 불법사금융 피해를 겪지 않도록 특례보증상품을 신규 출시하는 등 정책 서민금융도 공급할 것으로 보인다.
은행권도 취약계층에 대한 금융 지원과 자율 채무조정을 확대할 예정이다. 우선 자체적으로 무보증 신용대출(새희망홀씨) 공금 목표를 3조5천억원으로 지난해보다 3천300억원 늘린다. 가계대출 프리 워크아웃 활성화, 가계대출 소멸시효 완성채권 소각 등을 통해 취약 및 연체 대출자의 생활 안정과 재기도 지원할 계획이다.
이자 상환 부담 완화를 위한 자체 상품도 출시한다. 현재 보유 중인 주택담보대출 금리와 동일하게 대출 만기를 5년 연장하거나, 고신용등급에 적용되는 우대 금리를 저신용자에 적용해 상단 금리를 0.9%포인트 내리는 등 관련 상품을 확대할 계획이다.
김형엽기자 khy@yeongnam.com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