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추경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9일 서울 중구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열린 한-미 재무장관 회의에서 개회사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
추경호 경제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9일 재닛 옐런(Janet Yellen) 미국 재무장관에게 러시아 원유 가격 상한제에 한국도 동참할 뜻이 있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양국 장관은 외환 이슈에 대해 선제적으로 적절히 협력해 나가기로 합의했다. 더불어 양국이 필요시 유동성 공급 장치 등 다양한 협력방안을 실행할 여력이 있다는 데 인식을 공유했다. 향후 한미 통화스와프 재체결의 가능성을 열어둔 것이다.
추경호 부총리는 이날 옐런 재무장관과 재무장관 회의를 갖고 최근 금융·외환시장 동향을 점검하고 양국 간 외환시장 협력 강화 의지를 재확인했다고 밝혔다. 또 지난 5월 한미 정상회담에서 양국 정상이 선언한 '글로벌 포괄적 전략동맹'에 맞게 한미 간 경제 협력관계 역시 확대·진화돼야 한다고 뜻을 모았다.
이날 회의에서 양측은 대외요인으로 최근 원·달러 환율 변동성이 커졌으나 외환 건전성 제도 등으로 한국 내 외화유동성 상황이 과거 위기 시와 달리 양호하고 안정적이라는 데 의견을 같이했다. 또 세계 경제 및 한국 경제 동향과 전망, 우크라이나 사태 대응, 외환시장 동향 및 협력, 기후변화 및 글로벌 보건 이슈 대응 등 양국이 직면한 다양한 현안에 대한 의견을 교환하고 심도 있는 논의를 진행했다.
특히 추 부총리는 우크라이나 사태와 관련해 미국이 주도하고 있는 러시아 원유 가격 상한제에 동참할 뜻을 내비쳤다. 추 부총리는 "한국도 가격상한제 도입 취지에 공감하며 동참할 용의가 있다"라며 "가격상한제가 국제 유가 및 소비자 물가 안정에 기여할 수 있도록 효과적으로 설계돼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이에 옐런 장관은 "향후 구체적인 제도 설계에 한국도 적극 참여하길 희망한다"라고 화답했다. 미국은 현재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러시아의 수입원을 줄이고 국제 유가의 급등을 막기 위해 러시아산 원유 가격에 상한을 두는 방안을 주도하고 있다.
이어 양측은 외환시장 관련 협력에 합의하면서 "한미 양국이 필요시 유동성 공급장치 등 다양한 협력방안을 실행할 여력이 있다"는 인식을 공유했다. 추 부총리는 "현재 한국의 외화유동성은 안정적인 상황이지만 글로벌 금융시장 유동성의 급변동이나 역내 경제 안보 위험요인에 유의하며 금융·외환시장 상황을 철저히 모니터링하는 한편, 유사시에 대비해 컨틴전시 플랜을 면밀히 재정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런 문구를 토대로 한미 양국의 외환시장 협력 강도가 한 단계 더 진전된 것 아니냐는 해석이 정부 안팎에서는 나온다. 다만 당장 한미 통화스와프를 재체결하겠다기보다는 필요하면 진행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열어둔 것으로 해석된다.
양측은 또 기후변화에 대응한 녹색 전환 지원, 글로벌 보건 이슈 등과 관련한 협력에 대해서도 논의했다.
구경모기자 chosim34@yeongnam.com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