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가격 상승 등 영향으로 지난해 가구당 순자산(금융 및 비금융자산)이 약 8% 늘었다.
통계청과 한국은행이 21일 발표한 '2021년 국민대차대조표(잠정)'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가구당 순자산은 5억4천476만원으로 2020년 말(5억451만원)보다 7.98% 증가한 것으로 추정됐다. 가구당 순자산 추정액은 '가계 및 비영리단체' 전체 순자산을 추계 가구 수로 나눈 값이다.
가계 및 비영리단체 순자산은 전년보다 10.8%(1천132조9천억원) 늘어난 1경1천592조원으로 집계됐다. 자산 종류별로는 부동산이 11.8%, 현금·예금이 8.8% 늘었고, 대출금(9.9%)과 정부융자(3.9%) 등 금융부채도 증가했다. 구성 비중에서는 주택 6천98조원(52.6%), 주택 이외 부동산 2천626조원(22.7%) 등으로 부동산이 전체 75.3%를 차지했다. 이어 현금 및 예금은 2천139조원(18.5%), 보험 등 1천498조원(12.9%), 지분증권·투자펀드 1천134조원(9.8%) 순이다.
가계 및 비영리단체와 금융·비금융법인, 일반정부 순자산을 모두 더한 '국민순자산'은 작년 말 기준 1경9천808조8천억원으로 2020년 말보다 11.4%(2천29조9천억원) 늘었다. 증가율로는 2007년 13.31% 이후 14년 만에 가장 높았다. 국민순자산 증감 요인으로는 비금융자산과 금융자산 순취득액이 각각 229조원, 88조원 늘었다. 자산 가격 상승 등에 따른 비금융자산과 금융자산의 '거래 외 증감' 부분도 각각 1천372조원, 164조원 증가했다. 이는 새로 부동산 등을 사들이기보다는 거래 없이 자산 가치가 높아졌음을 뜻한다. 전체 국민순자산에서 부동산은 74.4%를 차지했다.
한편 2020년 말 기준 시도별 토지자산 비중에서 경북은 전체 중 5.0%, 대구는 3.8%를 차지했다. 2020년 기준 시도별 토지자산 증가율은 대구 9.5%, 경북 5.5%로 나타났다.
김형엽기자 khy@yeongnam.com
통계청과 한국은행이 21일 발표한 '2021년 국민대차대조표(잠정)'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가구당 순자산은 5억4천476만원으로 2020년 말(5억451만원)보다 7.98% 증가한 것으로 추정됐다. 가구당 순자산 추정액은 '가계 및 비영리단체' 전체 순자산을 추계 가구 수로 나눈 값이다.
가계 및 비영리단체 순자산은 전년보다 10.8%(1천132조9천억원) 늘어난 1경1천592조원으로 집계됐다. 자산 종류별로는 부동산이 11.8%, 현금·예금이 8.8% 늘었고, 대출금(9.9%)과 정부융자(3.9%) 등 금융부채도 증가했다. 구성 비중에서는 주택 6천98조원(52.6%), 주택 이외 부동산 2천626조원(22.7%) 등으로 부동산이 전체 75.3%를 차지했다. 이어 현금 및 예금은 2천139조원(18.5%), 보험 등 1천498조원(12.9%), 지분증권·투자펀드 1천134조원(9.8%) 순이다.
가계 및 비영리단체와 금융·비금융법인, 일반정부 순자산을 모두 더한 '국민순자산'은 작년 말 기준 1경9천808조8천억원으로 2020년 말보다 11.4%(2천29조9천억원) 늘었다. 증가율로는 2007년 13.31% 이후 14년 만에 가장 높았다. 국민순자산 증감 요인으로는 비금융자산과 금융자산 순취득액이 각각 229조원, 88조원 늘었다. 자산 가격 상승 등에 따른 비금융자산과 금융자산의 '거래 외 증감' 부분도 각각 1천372조원, 164조원 증가했다. 이는 새로 부동산 등을 사들이기보다는 거래 없이 자산 가치가 높아졌음을 뜻한다. 전체 국민순자산에서 부동산은 74.4%를 차지했다.
한편 2020년 말 기준 시도별 토지자산 비중에서 경북은 전체 중 5.0%, 대구는 3.8%를 차지했다. 2020년 기준 시도별 토지자산 증가율은 대구 9.5%, 경북 5.5%로 나타났다.
김형엽기자 khy@yeongnam.com

김형엽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