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금리 0.25%포인트 상승하면 민간소비 최대 0.15% 감소"

  • 김형엽
  • |
  • 입력 2022-07-27   |  발행일 2022-07-28 제12면   |  수정 2022-07-27 17:16

기준금리 인상 영향으로 지갑을 닫는 소비자가 늘면서 경기 한 축인 민간 소비가 얼어붙어 경제성장에도 영향을 줄 전망이다.

27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금리 상승의 내수 부문별 영향 점검' 보고서는 지난해 8월부터 이어진 기준금리 인상 영향이 점차 가시화될 것으로 예상된다며 이같이 분석했다.

한국은행이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민간 소비 금리 탄력성은 평균 0.04∼0.15%로, 기준금리가 0.25%포인트 오를 경우 민간소비가 최대 0.15% 감소할 수 있다.

이는 설비투자(0.07∼0.15%)나 건설투자(0.07%∼0.13%) 금리탄력성과 비슷한 수준이다.

하지만 민간소비가 국내총생산(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크기 때문에 성장률 하락에 미치는 영향도 높을 전망이다. 앞서 지난 2분기 성장률은 0.7%로 집계돼 예상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는 민간소비가 의류·신발 등 준내구재 및 음식숙박·오락문화 등 서비스를 중심으로 3.0% 증가했기 때문이다. 성장률 기여도에서 민간소비는 1.4%포인트로 집계됐다.

또한 보고서는 글로벌 금리 상승으로 최근 주가가 상당 폭 떨어졌고, 집값 역시 하락 기대감이 형성돼 향후 소비가 더 둔화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과거 데이터를 바탕으로 분석한 결과 기준금리가 0.25%포인트 오른 이후 6분기에 접어들면 주가와 집값 하락 영향에 따른 민간소비 감소 폭은 최고 0.12%까지 나타났다.

보고서는 "집값보다는 주가가 민간소비에 더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면서 "최근의 주가가 크게 하락한 점이 소비에 적지 않은 영향을 줄 수 있다"고 했다.

또한 보고서는 "금리 상승으로 인한 수요 둔화는 어느 정도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되나 물가 안정과 같은 편익이 더 크다는 점을 함께 고려해야 한다"면서 "고용과 임금의 견조한 개선과 정부의 주택공급 확대 기조, IT 제조업의 대규모 투자계획 등이 금리 충격을 완화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내다봤다.

김형엽기자 khy@yeongnam.com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경제인기뉴스

영남일보TV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

영남일보TV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