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년여 만에 상품수지 적자…원자재 가격 상승 영향

  • 김형엽
  • |
  • 입력 2022-09-07 17:28  |  수정 2022-09-07 17:30  |  발행일 2022-09-07

지난 7월 경상수지가 3개월 연속 흑자를 보였지만 원자재 등 수입 가격 상승으로 상품수지는 10년3개월 만에 처음 적자를 기록했다.

7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국제수지 잠정통계에 따르면 7월 경상수지는 10억9천만달러(약 1조5천37억원) 흑자로 집계됐다. 경상수지는 2020년 5월 이후 올해 3월까지 23개월 연속 흑자를 유지하다 4월 수입 급증과 해외 배당이 겹치면서 적자를 냈고, 5월 흑자 전환한 뒤 석 달째 흑자를 이어가고 있다.

하지만 항목별로는 상품수지 흑자가 1년 전보다 67억3천만달러 줄어 11억8천만달러 적자로 집계됐다.

상품수지 적자는 2012년 4월 이후 10년3개월 만이다. 수출(590억5천만달러)이 석유제품 등을 중심으로 6.9%(37억9천만달러) 늘었지만, 수입(602억3천만달러) 증가 폭이 21.2%(105억2천만달러)로 대폭 늘었다.

7월 통관 기준 원자재 수입액은 작년 같은 달보다 35.5% 불었다.

원자재 중 석탄, 원유, 가스의 수입액(통관기준) 증가율은 각각 110.0%, 99.3%, 58.9%에 달했다. 반도체 등 자본재 수입도 7.6% 늘었고, 곡물(28.2%)과 가전제품(21.3%)을 비롯한 소비재 수입도 8.5% 늘었다.

서비스수지는 운송수지 흑자 규모(18억4천만달러)가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3억6천만달러 늘면서 3억4천만달러 흑자를 기록했다. 7월 선박 컨테이너 운임지수(CCFI)가 1년 전보다 16.5% 오르는 등 수출화물 운임이 높은 수준을 유지한 영향이다.

본원소득수지 흑자(22억7천만달러)는 1년 전(28억4천만달러)과 비교해 5억8천만달러 줄었다. 본원소득수지 가운데 배당소득수지 흑자(16억9천만달러)가 4억3천만달러 감소한 영향이다.

금융계정 순자산(자산-부채)은 7월 중 1억8천만달러 늘었다. 직접투자 중 내국인의 해외투자가 56억7천만달러, 외국인의 국내투자는 22억6천만달러 증가했다. 증권투자에서는 내국인의 해외투자가 32억4천만달러, 외국인의 국내 증권투자가 42억2천만달러 각각 늘었다.

김형엽기자 khy@yeongnam.com

기자 이미지

김형엽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경제인기뉴스

영남일보TV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

영남일보TV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