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철우 경북도지사(왼쪽 4번째)가 14일 오후 포항 철강산업단지관리공단 회의실에서 '철강공단 정상화를 위한 비상경제대책회의'를 주재하고 있다.<경북도 제공> |
태풍 '힌남노'로 막대한 피해를 본 포항철강공단 기업들은 인력·장비 등 복구 지원, 항구적인 재발 방지대책 등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14일 오후 경북도 주최로 포항 철강산업단지관리공단 회의실에서 열린 '철강공단 정상화를 위한 비상경제대책회의'에 참석한 태풍 피해 기업들은 이 같은 내용을 건의했다.
강관제조업체인 A사는 셰일가스 파이프생산 시설 침수로 정상 가동까지 상당시일이 걸리고, 수출 납기와 품질이 문제인데 기 생산 제품의 불량도 염려된다며 이번 침수는 이번 침수는 냉천이 아닌 저지대 침수로 포항의 저지대 침수관련 대응책을 요구했다.
또 용접봉 생산업체인 B사는 공장 2/3 정도가 침수로 사무실이 완전 침수 돼 전산과 전기 공급이 안 돼 복구까지 3개월 정도 걸릴 예정으로 제품의 50%이상을 수출을 하고 있는데 복구비용이 상당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어려움을 호소했다.
이날 포항철강공단내 대규모 사업장들은 모터, 기계 등 장비 설비 침수 피해를 입어 장비 세척과 정비 전문인력 지원을 요청했다. 또 중소 규모 기업들은 진흙 제거, 폐기물 처리, 청소 등을 위한 자원봉사 인력을 지원해줄 것과 함께 사업장 폐기물 처리 비용 지원 및 호동 매립장 반입을 요청했다.
이와 함께 태풍, 집중 호우 때 냉천 범람을 막을 수 있는 차수벽 설치와 항사댐 건설, 방재·배수 시스템 보강 등 항구적인 재발 방지대책을 주문했다.
공단업체들의 이같은 피해에 대해 포항시는 경북도와 함께 산업위기 선제대응 지역에 지정되도록 노력하고 신속한 복구를 위해 주 52시간 근로시간 특별연장근로 신청 때 고용노동청에서 조기에 인가되도록 힘을 모으기로 했다.
또 △버팀금융 및 재해중소기업 보증한도 상향 △긴급경영안정자금 1천억 원 별도 배정 △산사태 피해기업 산림재해복구비 지원 △주택 및 상가 침수 지원금 상향 지원 △피해복구 장비 및 인력 추가 지원 등을 경북도와 중앙정부에 건의했다.
이강덕 포항시장은 "국가차원의 지역 산업위기 극복 대책 마련을 위해 포항시가 하루빨리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으로 지정돼야 한다"며, "유관기관과 협조해 태풍으로 인해 피해를 입은 주민과 지역 내 기업들의 현실적인 지원대책 마련에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태풍피해 지역민의 일상복귀를 위해 더 많은 지원책이 반영될 수 있도록 중앙부처에 지속적으로 건의할 것"이라며, "경상북도 자체 추가지원 또한 적극적으로 검토하겠다"라고 말했다.마창성기자 mcs12@yeongnam.com

마창성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