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올해 1월 착공식을 가진 포항시 북구 흥해공공도서관 및 아이누리플라자 착공식 모습.<포항시 제공> |
경북 포항시가 2017년 11월 15일 촉발지진 이후 지진의 상처를 회복하고 안전도시로 거듭나기 위해 총력을 쏟고 있다.
13일 포항시에 따르면 시는 지진 상처를 극복하기 위해 2019년부터 북구 흥해읍 일대 123만㎡를 특별재생지역으로 지정해 2천896억원을 들여 30개 사업을 벌이고 있다.
먼저, 도시 재건을 위해 2020년 9월 전파공동주택 5단지의 부지 매입을 완료하고, 도시재생의 마중물 역할을 할 핵심시설인 앵커시설 건립에 행정력을 집중했다.
전파공동주택부지에는 실내체육관과 재난대피소로 활용될 다목적 재난구호소가 올해 1월 준공돼 운영 중이며, 실내수영장과 문화시설로 활용될 복합커뮤니티센터가 12월 준공 예정이다.
또 공공도서관 및 아이누리플라자(키즈카페·장난감도서관), 시립어린이집이 포함된 복합시설인 '행복도시 어울림 플랫폼 건립사업'이 올 1월 착공해 공사 중이다.
북구지역의 공공의료 및 보건을 책임질 '북구보건소'와 재난으로 인한 심리적 외상을 치유하고 심리적 안정을 지원할 '트라우마센터'가 최근 착공에 들어갔다.
이밖에 마을회관·경로당 신축 및 내진보강 사업(6개소), 이팝나무 명소화 사업, 개방형 공동이용시설 조성공사 등을 완료해 지역민의 소통공간을 마련했다.
시는 흥해특별재생사업의 원활한 추진을 위해 특별도시재생대학과 주민공모사업을 통해 주민 역량을 키우는 사업도 진행 중이다. 학성리에는 한국토지주택공사와 함께 최대 300가구 규모의 공공임대주택을 짓기로 했다. 내년 8월쯤 착공해 2025년 10월에 입주할 수 있도록 하고 지진 피해를 본 주민에게 우선 공급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초기에 전파 판정을 받은 아파트와 달리 뒤늦게 수리 불가 판정이 난 한미장관맨션에는 아직 주민이 살고 있다. 4개 동 240가구로 구성된 한미장관맨션은 지진 당시 피해가 가장 컸던 대성아파트에 인접해 큰 피해가 났다.
그런데도 정밀안전진단 결과 '약간 수리가 필요한 정도'인 C등급으로 판정됨에 따라 전파 판정을 요구하며 시와 마찰을 빚었다. 시는 법에 따라 아파트 준공 당시를 기준으로, 주민은 현재 건축구조 기준에 따라 안전진단을 했기 때문에 시와 주민의 안전등급에 차이가 생겼다.
행정소송에서 대법원은 포항시의 손을 들어줬다. 이런 막막한 상황에서 포항지진특별법에 따라 구성된 국무총리실 소속 포항지진피해구제심의위원회가 2021년 9월 수리 불가로 결정하면서 한미장관맨션 주민은 전파 판정을 받은 수준으로 피해를 보상받을 수 있게 됐다. 이 아파트단지 주민은 재건축을 위해 조합 설립을 추진하고 있다.
이강덕 시장은 "흥해특별도시재생사업으로 도시재건과 주거안정을 위해 노력한 결과가 구체적인 성과를 내고 있다"고 말했다.
마창성기자 mcs12@yeongnam.com

마창성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