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과급 양극화 심화···인재확보 경재에 성과주의 확산

  • 정우태
  • |
  • 입력 2023-02-09 18:07  |  수정 2023-02-09 18:08  |  발행일 2023-02-09

기업 규모에 따른 성과급 양극화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

사람인 HR연구소가 기업 341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2022년 귀속 성과급 지급 현황'에 따르면 응답기업 58.4%가 '성과급을 지급했거나 지급할 예정'인 것으로 조사됐다. 이 가운데 대·중견기업(67.2%)이 중소·스타트업(54%)에 비해 13.2% 포인트 더 높았다.

성과급을 지급하는 기업들의 직원 1인당 평균 성과급 산정 비율은 연봉의 12.4%로 집계됐다. 연봉 5000만원일 경우 620만원을 받는 셈이다. 지난해와 비교한 성과급 규모는 '비슷하다'(38.2%)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확대됐다'(32.2%), '축소됐다'(20.1%)가 뒤를 이었다.

성과급을 지급하는 이유는 '직원들의 사기 진작을 위해서'(63.8%·복수응답)가 1위를 차지했다. 이어 '성과 목표를 달성해서'(49.2%), '인재 관리 차원에서'(26.6%), '정기 상여금으로 규정되어 있어서'(11.6%) 등 순이었다. '회사 재정 상태가 좋아져서'라는 응답은 4.5%에 불과했다.

정량적인 평가를 통해 성과급을 주던 관행에서 탈피해, 핵심인재를 확보 및 유지하기 위해 단기 성과에 대해 즉시 보상하는 경향도 보이고 있다. 성과급 지급 방식을 보면 '개인 및 부서 실적에 따른 차등 지급'이 41.7%로 나타났다. 또 응답 기업의 36.7%는 2023년에 성과급 지급 방식을 개편하거나 성과급 지급을 신설할 것이라고 답했고 이 가운데 55.2%는 '개인 및 부서 실적에 따른 차등 지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사람인 HR연구소 관계자는 "인재 확보를 위한 경쟁이 치열해짐에 따라 실적·성과를 바로 보상하는 성과주의가 급격하게 확산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며 "변화하는 상황에 맞춰 보상 재원과 방법, 적시성 등 차별화된 전략을 세워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우태기자 wtae@yeongnam.com

기자 이미지

정우태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경제인기뉴스

영남일보TV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

영남일보TV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