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스요금 23만원→43만원…다음 겨울이 더 두려운 소상인들

  • 최시웅
  • |
  • 입력 2023-02-16  |  수정 2023-02-16 07:23  |  발행일 2023-02-16 제3면
작은 라면가게 운영하는 업주

두배 가까운 요금에 망연자실

추위에 난방기 풀가동했지만

가격 현실화 방침에 걱정 앞서

가스요금 23만원→43만원…다음 겨울이 더 두려운 소상인들
대구 중구에서 일본식 라면 식당을 운영하는 안모씨가 지난해 11월 받은 가스요금 고지서(왼쪽)와 올해 2월 받은 고지서. 거의 두 배가 나왔다.

대구 중구에서 소담한 일본식 라면식당을 운영하는 안모씨는 최근 '43만6천370원'이란 금액이 찍힌 2월 가스요금 고지서를 보고 경악했다. 작년 11월까지만 해도 23만원에 불과하던 가스요금이 몇 달 새 껑충 뛴 것이다. 안씨는 "가스 불을 계속 켜두고, 날씨가 추워 난방기를 풀로 가동했더니 요금이 많이 나온 것 같다. '난방비 폭탄'이 날아온다고 각오는 했지만 막상 단기간에 두 배 가까이 오르니 마음이 착잡하다"며 "가게뿐 아니라 집에서 쓴 가스비도 보통 8만~9만원 정도 나오다가 이번에 30만원 가까이 나왔다"고 망연자실했다.

다행히 안씨처럼 한동안 서민을 얼어붙게 만든 난방비 대란 사태가 요즘 한 꺼풀 꺾이는 추세지만 방심은 금물이다. 한국도시가스협회는 2월 도시가스 요금이 지난 1월보다 감소할 것이라고 밝혔다. 날씨가 풀린 탓에 도시가스 사용량이 지난해 12월 하순부터 감소세고, 1월 날씨도 평년에 비해 춥지 않았다는 판단에서다. 앞서 산업통상자원부도 지난해 12월 한파로 가스 사용량이 전달 대비 2.22배, 전년 동월 대비 1.5배가량 증가한 게 요금 급상승의 원인이라고 설명한 만큼 가스요금 부담이 완화될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최근 도시가스·지역난방 이용 기초생활수급자와 차상위계층에 59만2천원의 지원금을 약속한 데 이어 15일 등유·LPG 이용 가구에도 같은 수준의 지원대책을 발표했다. 기초생활수급자와 차상위계층 등에만 적용되던 에너지 요금 분할 납부를 소상공인 등으로 확대하는 한시 방안도 준비 중이다.

문제는 난방 폭탄 고지서가 다음 겨울에 또 찾아온다는 점이다. 서민이 체감할 수 있는 현실적인 요금인하 방안이 나와야 한다는 지적이다. 정부는 이미 올 초부터 2분기쯤 가스요금 추가 인상을 계획하고 있다고 공언한 바 있다. 국제 정세 불안정으로 인한 천연가스 가격 상승, 탈원전 정책으로 인한 천연가스 의존도 심화 등 인상요인은 많다고 했다. 한국가스공사 관계자는 "2021년 4분기부터 국제 가스가격이 급격히 올랐지만 국민 부담 완화를 위해 주택용 가스요금 원료비 연동제를 유보하고 인상 폭을 최소화했다"면서 "그러나 해외서 도입한 원가보다 싸게 가스를 공급하는 기간이 길어지면서 미수금이 쌓였고, 요금의 점진적 인상 및 현실화 계획이 불가피하다"고 설명했다.

현재 대구시 가스요금은 주택용 기준 1MJ당 20.65원이다. 가스공사가 원료비에 공급 비용을 붙여 책정한 도매가를 각 도시가스 사업자가 받아서 다시 소매가로 내놓은 금액이다. 이 중 원료비는 15.63원으로 약 75%가량 차지한다. 현시점 기준 주택용 원료비가 최소 30원은 돼야 미수금 회수를 시작할 수 있다는 얘기다. 원료비 연동제가 적용되는 산업용은 원료비가 29.76원으로 두 배 가까이 높다.

전문가들은 우려되는 난방대란에 국민 개개인이 대비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최준호 영남대 교수(행정학과)는 "이번 대란은 정부가 국민에게 당면한 에너지 위기를 제대로 설명하지 않은 탓도 있다. 원료비 연동제 유보도 마찬가지다. 막연히 정부가 완충 역할을 하는 게 아니라 국민 개개인이 대비할 수 있도록 돕는 게 중요하다"며 "당장엔 정부가 손실을 떠안고 요금인상을 최소화하더라도 궁극적으로는 탈원전에서 벗어나 에너지 고효율화에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글·사진=최시웅기자 jet123@yeongnam.com

기자 이미지

최시웅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경제인기뉴스

영남일보TV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

영남일보TV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