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구 동구 신서혁신도시에 있는 한국가스공사 본사 전경. |
다음달 말쯤 한국가스공사의 누적 미수금 규모가 12조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됐다. 지난해 말보다 3조원이 더 늘어난 셈이다. 다급해진 가스공사는 향후 5년간 14조원 규모의 고강도 재무구조 개선계획을 추진키로 했다.
가스공사는 22일 "원료비 미수금이 작년 말 기준으로 9조원에 이르고, 올 3월말 12조원을 초과할 것으로 전망돼 이미 자본금을 초과했다"고 말했다.
재무상황이 더 악화되면 천연가스의 안정적 수입과 국내 공급에 필요한 자금 조달이 어려워질 수 밖에 없는 상황이다.
앞서 가스공사는 지난해 8천억원의 해외사업 수익 창출과 6천억원 규모의 동절기 수요 감축을 통해 2조7천억원의 재무 개선 성과를 냈다. 전국 관리소 30% 무인화와 조직 축소를 통해 102명의 인력도 감축한 바 있다.
올해도 고강도 자구책은 계속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가스공사는 올해 자산 유동화를 통해 8천억원을 조달하고 해외사업에서 1조원의 수익을 창출해 2조7천억원 규모의 재무 개선을 추진한다.
장기적으로는 천연가스 인프라와 에너지 안보 강화에 직접적 관련이 없는 해외 청정수소 사업과 비핵심 자산 매각을 통해 2조6천억원을, 해외사업 수익 개선으로 5조4천억원을 추가 확보할 계획이다. 향후 5년간 재무구조 개선 성과 14조원 달성을 목표로 삼았다.
아울러 경제적인 원재료 구매 방안을 수립하고 취약한 자본 구조를 개선해 3조8천억원의 경비 절감 효과도 꾀한다.
최시웅기자 jet123@yeongnam.com

최시웅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