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가 '간편결제 대전'에 맞서기 위해 거대 '국산 페이 동맹'에 나선다. 이달 하순에 상륙할 애플페이를 견제하기 위해 국내 사업자 간 이합집산을 강화하는 움직임으로 보인다.
12일 IT(정보기술)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카카오의 간편결제 시스템인 '카카오페이'와 상호 서비스 연동을 위한 협의에 착수했다. 논의 핵심사안은 카카오페이 앱에서 삼성페이를 이용해 온라인에서 간편결제를 하고, 오프라인에선 마그네틱보안전송(MST) 방식 간편결제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카카오페이 관계자는 "삼성전자와 결제 서비스 연동 논의를 진행 중인 것은 맞는다"면서도 "아직 확정된 것이 없어 구체적인 사항은 밝히기 어렵다"고 말했다.
앞서 삼성전자는 지난달 네이버파이낸셜과 '모바일 결제 경험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 삼성페이-네이버페이 협력체제를 구축했다.
국내 온라인 가맹점 55만개소에서 삼성페이 결제가 가능해졌다. 네이버페이 이용자도 번거롭게 QR코드를 열지 않고도 삼성페이 앱을 통해 오프라인 결제를 할 수 있다.
이 같은 움직임은 이달 하순 국내 서비스 개시가 예정된 애플의 간편결제 서비스 '애플페이'에 대응하기 위해서다. 오프라인 간편결제서비스 1인자인 삼성전자가 온라인 간편결제 국내 1·2위 네이버페이, 카카오페이와 잇따라 손을 잡으면 온·오프라인을 아우르는 거대한 국산 간편결제 생태계가 조성되는 셈이다.
한편 카카오는 지난해 4분기 실적발표 관련 콘퍼런스 콜에서 사용자 혜택 강화를 약속한 바 있다. 다음 달까지 편의점에서 카카오페이 자체 앱으로 결제하면 금액의 1%를 포인트로 제공하고, 카카오톡을 통해 결제하면 0.6%를 제공하는 등 오프라인 사용을 촉진하고 있다.
최시웅기자 jet123@yeongnam.com
12일 IT(정보기술)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카카오의 간편결제 시스템인 '카카오페이'와 상호 서비스 연동을 위한 협의에 착수했다. 논의 핵심사안은 카카오페이 앱에서 삼성페이를 이용해 온라인에서 간편결제를 하고, 오프라인에선 마그네틱보안전송(MST) 방식 간편결제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카카오페이 관계자는 "삼성전자와 결제 서비스 연동 논의를 진행 중인 것은 맞는다"면서도 "아직 확정된 것이 없어 구체적인 사항은 밝히기 어렵다"고 말했다.
앞서 삼성전자는 지난달 네이버파이낸셜과 '모바일 결제 경험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 삼성페이-네이버페이 협력체제를 구축했다.
국내 온라인 가맹점 55만개소에서 삼성페이 결제가 가능해졌다. 네이버페이 이용자도 번거롭게 QR코드를 열지 않고도 삼성페이 앱을 통해 오프라인 결제를 할 수 있다.
이 같은 움직임은 이달 하순 국내 서비스 개시가 예정된 애플의 간편결제 서비스 '애플페이'에 대응하기 위해서다. 오프라인 간편결제서비스 1인자인 삼성전자가 온라인 간편결제 국내 1·2위 네이버페이, 카카오페이와 잇따라 손을 잡으면 온·오프라인을 아우르는 거대한 국산 간편결제 생태계가 조성되는 셈이다.
한편 카카오는 지난해 4분기 실적발표 관련 콘퍼런스 콜에서 사용자 혜택 강화를 약속한 바 있다. 다음 달까지 편의점에서 카카오페이 자체 앱으로 결제하면 금액의 1%를 포인트로 제공하고, 카카오톡을 통해 결제하면 0.6%를 제공하는 등 오프라인 사용을 촉진하고 있다.
최시웅기자 jet123@yeongnam.com

최시웅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