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황종성(왼쪽) NIA 원장이 22일 미국 워싱턴DC 세계은행 본부에서 열린 '코리아 디지털데이 2023'에서 '디지털플랫폼정부를 향한 새로운 여정'을 주제로 발표하고 있다. |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이 한국 디지털정부 혁신 전략을 개발도상국에 전수했다.
NIA 황종성 원장은 지난 22일(이하 현지시각) 미국 워싱턴DC 세계은행 본부에서 열린 '코리아 디지털데이 2023' 행사 '디지털플랫폼 정부를 향한 새로운 여정' 세션에서 인공지능(AI) 및 데이터 기반 디지털플랫폼 정책과 국가 데이터 인프라 구축 전략을 발표했다.
이날 발표에서 NIA는 그간 주요 성과와 한국 디지털정부 발전 역사를 소개하고, 국민 체감형 디지털 솔루션 등 주요 정책 및 전략을 공유했다. 특히, 디지털 전환을 위해 효율적 국가 데이터 인프라 구축의 중요성을 언급했다. 기존 '데이터 준비 80%-활용 20%' 구조에서 '데이터 준비 20%-활용 80%'로 전환하는 혁신적 청사진을 제시했다.
또한, 개발도상국을 위한 주권형 데이터 인프라 모델을 제시했다. 이번 행사를 공동으로 주최한 세계은행이 추구하는 기후 변화 대응을 위한 에너지 효율형 인프라에 적극 협력하기로 했으며, 세계은행이 추진하는 아프리카 데이터센터 사업 등에서 상호 협력하기로 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세계은행과 21~23일 공동 주최한 코리아 디지털데이는 양 기관이 디지털 분야 협력 확대 양해각서를 체결하고, 한국의 주요 정책을 공유해 디지털 혁신 사례와 디지털 신질서 정립 방향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NIA는 행사 첫날에도 한국신탁기금과 디지털파트너십펀드 등 세계은행의 다양한 재원을 활용해 개도국 디지털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논의하기도 했다.
황종성 원장은 "앞으로도 NIA가 지난 36년간 한국의 디지털 전환을 통해 얻은 경험과 지식을 세계은행과 공유하면서 개도국의 디지털 전환 및 AI·데이터 기반 혁신을 위해 적극 협력하겠다"고 했다.
최시웅기자 jet123@yeongnam.com

최시웅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