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0일 포스코에 따르면 오는 2031년 수소환원제철소 건립 착공을 위한 부지 확보를 위해 올해 1월 국토부에 '포항국가산업단지 산업단지계획변경사업'을 신청, 승인절차를 밟고 있다.
포스코는 포항제철소에는 여유 부지가 없어 현 제철소 인근 바다를 매립해 부지를 확보할 계획이다. 확보 예정 부지는 135만㎡에 달해 국토부, 해양수산부, 환경부 등 정부의 도움(신속한 행정절차 )이 필요한 상황이다.
또 포스코가 환경영향평가에 따른 주민설명회도 가져야 해 향후 경북도·포항시의 협력,지역 사회단체와 시민들의 관심도 필요하다.
포스코 관계자는 "영일만 4산단 등 포항지역내 다른 공단 부지를 활용하면 안되냐는 의견이 있지만, 제철산업은 쇳물을 만드는 과정에서부터 제강, 압연으로 이어지는 연속공정체제를 갖추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해 대안이 될수 없다"며 "포항제철소 부지 확장 사업이 필수적"이라고 설명했다.
지역 경제계에서도 부지 확보가 늦어질 경우 포항제철소보다 상대적으로 여유 부지가 많고 바다를 매립해 부지가 조성돼 있는 광양제철소에 세계 최초의 수소환원제철소가 건립되는 상황이 올 수도 있을 것을 우려하고 있다.
포스코측은 1천507만㎡였던 광양제철소 면적이 매립 공사를 통한 부지 확장 사업으로 현재는 42.5% 늘어난 2천148만㎡에 이르는데 이는 포항제철소(1천84만㎡)의 두 배 규모라고 설명했다.
포항제철소는 공장 부지가 부족해 설비 투자에 제약이 있는 반면, 광양제철소는 아직도 신규 공장 설립이 가능한 부지가 남아 있으며, 수소환원제철소 건설을 위한 부지 매립 공사도 이미 진행 중이라고 덧붙였다.
지역 경제계의 한 관계자는 "여유 부지가 없는 현 포항제철소의 상황을 감안하면 광양제철소처럼 정부가 과감하게 규제를 완화하고, 자자체도 적극 협력해 포항제철소에 수소환원제철소 프로젝트가 제때 이뤄질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마창성기자 mcs12@yeongnam.com

마창성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