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윤석열 대통령이 10일 취임 1주년을 맞았다. 사진은 이날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 연합뉴스 |
![]() |
윤석열 대통령이 산업통상자원부 제2차관에 강경성 현 대통령실 산업비서관을 임명했다고 10일 대통령실이 밝혔다. 연합뉴스 |
윤석열 대통령이 10일 산업통상자원부 2차관에 문경 출신의 강경성 현 대통령실 산업정책비서관을 임명했다.
산업부 2차관은 에너지·원전 정책을 총괄하는 만큼 전날 윤 대통령의 '과감한 인사조치' 언급과 연관된 것이란 해석도 나오고 있다.
대통령실은 이날 보도자료를 통해 강경성 2차관 임명 소식을 알렸다. 대통령실 이도운 대변인은 이날 오후 용산 청사 브리핑에서도 "박성택 신임 산업정책비서관은 산업부 무역국장을 지내 산업비서관으로서 최적의 인물"이라고 설명했다.
강 신임 2차관은 경상북도 문경 출신으로 서울 수도전기공고와 울산대 전기공학과를 졸업했으며, 1995년 기술고시 29회에 합격해 공직에 입문했다. 산업부에서 에너지관리과장, 원전수출진흥과장, 원전산업정책과장, 석유산업과장, 에너지정책실장 에너지 관련 요직을 거친 뒤 윤석열 정부 초대 산업비서관으로 일해왔다.
정치권은 기존 박일준 2차관을 전격 교체한 것과 관련해, 민생과 직결된 전기·가스요금 인상을 두고 정부·여당이 고심 중인 상황에서 나온 것이라 주목했다. 특히 윤 대통령은 전날 국무회의에서 "탈원전, 이념적 환경 정책에 매몰돼 (공무원들이) 새로운 국정 기조에 맞추지 않고 애매한 스탠스를 취한다면 과감하게 인사 조치를 하라"고 지시한 바 있다.
다만 대통령실 관계자는 이날 산업부 인사가 윤 대통령의 전날 '과감한 인사조치' 언급과 연관이 있느냐는 기자들의 물음에 "어제 대통령 말씀은 새 정부 2년 차를 맞아 내각 분위기를 다잡자는 의미"라며 "(대통령이) 특정 인사와 직접적으로 연결할 필요가 없다고 했다"고 해명했다.
공석이 된 산업비서관으로는 산업부 관료 출신인 박성택 현 정책조정비서관이 수평 이동했다. 새 정책조정비서관을 뽑기 위한 인선 절차도 막바지 단계인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이와 별도로 윤 대통령의 취임 1주년을 기점으로 대통령실 개편 작업에 속도가 붙을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이미 비서관들의 연쇄 이동이 일부 이뤄졌고 대통령실 내부에선 후임자 후보 추천과 인사 검증도 진행되고 있다는 설명이다. 이같은 작업이 순조롭게 진행될 경우 이르면 이달 하순부터 일부 비서관과 행정관 교체가 본격화할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통일부 등 일부 장관 등 개각 가능성도 거론되는 상황이다.
정재훈기자 jjhoon@yeongnam.com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