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가 결과에 따라 최대 140억원(지난해 기준)의 정부 예산이 지원되는 '지방소멸 대응 기금 투자계획 요약서' 제출 기한이 임박하면서 소멸 위기 상황에 놓인 지역 지자체의 발걸음도 바빠지고 있다. 2021년 인구 감소지역으로 선정된 대구 서구와 남구는 극도의 보안을 유지하며 소멸 위기 극복을 위한 프로젝트 수립에 나섰다. 지역에선 서구·남구를 포함해 경북 군위군·고령군·상주시·문경시 등 총 6개 시·군이 인구 감소지역이다.
행정안전부와 지자체 등에 따르면 지방소멸 대응 기금 투자계획 요약서 제출 기한은 오는 31일이다. 요약서 제출 후 다음 달 말까지 본 계획서를 제출해야 한다. 하반기부터 서면 검토를 시작으로 현장 방문(실사), 대면평가 등을 거쳐 오는 9월 말쯤 종합평가가 이뤄진다.
지방소멸 대응 기금은 평가 결과에 따라 등급별로 차등 지급된다. 지난해 기준 최고 등급을 받은 지자체에 총 140억원이 지원됐고, 최저 등급에는 60억원이 지급됐다. 윤석열 대통령 취임 후 정부는 인구감소지역 지원 특별법 시행(1월)을 통해 각종 특례를 부여하고 있다. 특히 인구감소지역에는 지방소멸 대응 기금 1조원, 보통교부세 2조3천억원 등 총 3조원에 달하는 재정 지원이 이뤄지고 있다.
평가에 따라 기금이 차등 지원됨에 따라 지자체들은 투자계획서 내용에 대해 철저히 함구하고 있다. 대구 서구의 경우 지난 2년간 추진해 온 출산·육아·보육 환경 개선 등에 집중할 계획이다. 조만간 2만 가구 규모의 아파트 신규 입주가 예정돼 있는 만큼 전입자 수요에 맞는 생활 인프라 구축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청년 일자리 창출을 위한 앵커기업 육성 등도 계획하고 있다. 지역 내 업체에 취업하는 청년의 서구 정착 방안도 연구 중이다.
대구 남구는 지자체 간 경쟁 등을 우려해 사업 내용 자체를 비공개하기로 했다. 다만 기존에 추진해 온 사업 가운데 성과가 난 사업에 더해 신규 발굴 사업을 추가할 것으로 전해진다.
대구 서구 관계자는 "최종 평가 등급에 따라 기금 지원 규모에 차등을 두기 때문에 상세한 내용은 공개할 수 없다"면서도 "문제가 제기됐던 서대구·염색 산단 시설개선 등 사업은 제외하기로 했다. 다만 신규 전입자 편의를 확대할 수 있는 방안과 함께 서구에 취업한 청년이 서구에 정착할 수 있는 획기적 방안을 내놓을 것"이라고 말했다.
양승진기자 promotion7@yeongnam.com

양승진
먼저 가본 저세상 어떤가요 테스형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