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부 부처 개각설에…尹 "국면 전환 개각 없다" 선긋기

  • 정재훈
  • |
  • 입력 2023-05-16 17:30  |  수정 2023-05-16 17:51  |  발행일 2023-05-16
일부 부처 개각설에…尹 국면 전환 개각 없다 선긋기
윤석열 대통령이 10일 취임 1주년을 맞았다. 사진은 이날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이 "보여주기식 국면 전환용 개각은 없다"며 정치권 일각에서 거론되는 대규모 개각 가능성을 일축한 것으로 16일 전해졌다.
윤 대통령 집권 2년차를 맞아 평가가 낮은 일부 부처 등 개각이 이뤄질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지만, 보여주기식 인위적 교체는 하지 않는다는 대통령 인사 원칙에 따라 당분간 큰 폭의 개각이 없을 것이라는 관측에 무게가 실리는 상황이다.

이날 정치권에 따르면 윤 대통령은 전날 수석비서관회의에서 김대기 대통령 비서실장으로부터 중폭 개각이 임박했다는 언론 보도를 보고받고 "국면 전환용 개각은 없다", "장관이 2년은 해야 한다"는 취지의 언급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치권에서는 권영세 통일부 장관이나 박보균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등에 대한 교체가 이뤄질 것이란 보도가 나온 바 있다.

다만 윤 대통령은 각 부처 장관으로부터 국정과제 이행 경과와 향후 계획에 대해 서면 보고를 받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를 대통령실 국정기획수석실이 부처별로 상황을 점검, 앞으로 있을 개각 등에도 반영할 계획이란 분석이 나온다.

정치권은 윤 대통령의 인사 철학이 반영된 것이라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실제로 윤 대통령은 쇄신이라는 명분을 위해 참모를 교체하고, 이를 통해 국면 전환을 노리는 기존 정치권의 방식을 따르지 않겠다는 입장을 꾸준히 밝혀 왔다. 윤 대통령은 지난 1월 올해 첫 국무회의에서 일찌감치 "인사는 상황이 될 때 하는 것"이라며 연초 개각설을 일축했다. 지난달 18일 국무회의에서도 윤 대통령은 취임 1주년 전후 개각관련 보도에 대해 "흔들리지 말고 중심을 잡으라"고 장관들에게 당부한 바 있다.

또한 윤 정부의 3대 개혁(노동·교육·연금) 등 장기 국정 로드맵을 실현시키기 위함이란 분석도 나오고 있다. 국정과제의 뼈대를 이루는 3대 개혁은 하위 정책의 일관성과 연속성이 요구되기에 장관 교체로 시기가 연기되는 부작용을 막겠다는 설명이다.

과거와 달리 '좁은 인재 '도 고민거리라는 분석도 나온다. 내년 총선을 앞두고 후보군에 속한 인사들이 출마를 고심하면서 후보군은 더욱 줄었다는 분석이다. 특히 여소야대 정국에서 인사청문회가 잇따라 열릴 경우 야당의 대대적인 공세가 불을 보듯 뻔하기 장관을 희망하는 인사들도 줄었다는 것이다. 대통령실의 한 관계자는 "재산 뿐만 아니라 인사청문회라는 걸림돌이 있어 예전만큼 대상자를 찾기가 쉽지 않다"고 말했다.


정재훈기자 jjhoon@yeongnam.com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정치인기뉴스

영남일보TV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

영남일보TV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