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경엽 (한자연구가) |
'방사선' '방사능' 그리고 '방사성'을 어떻게 이해하면 좋을까.
일본의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를 둘러싼 논란이 온 나라를 달구고 있다. 실제로 오염수가 방류되면 대립하는 주장들은 정점에 달할 것이고, 관련 보도들은 감당하기 어려울 정도로 매스컴을 도배할 것이다. 그러나 이에 관한 뉴스를 접하면서 왕왕 느끼는 점은 사용되는 용어들이 좀 불분명하다는 것이다. 특히 '방사선'과 '방사능'이란 낱말이 애매하다. '방사(放射)'란 한자어와 이에 붙은 '선(線)·능(能)·성(性)'이란 한자를 안다고 하여 이 세 낱말을 온전히 알 수는 없겠지만, 한 번쯤 뜻을 곱씹어 볼 필요를 느낀다.
방사란 중앙의 한 지점에서 사방으로 내뻗치는 것을 말한다. 표준국어대사전을 좀 더 살펴보자. 방사성은 물질이 방사능을 가진 성질이며, 방사능은 라듐, 우라늄, 토륨 따위 원소의 원자핵이 붕괴하면서 방사선을 방출하는 일이나 그런 성질을 가리킨다고 한다. 그리고 방사선은 방사성 원소의 붕괴에 따라 물체에서 방출되는 입자들이라고 설명한다. 흔히 경험하지만, 사전의 풀이가 낱말을 완전히 설명하지 못 하는 일은 이들 낱말에서도 예외는 아니다. '선·능·성'을 한자로 알더라도 방사선, 방사능, 방사성이란 낱말을 온전히 이해하는 것은 비전공자에게 버거울 수밖에 없다. 사전이 말뜻을 온전히 풀어줄 수 없는 때에는 관련 지식에 대한 부가적 이해가 필요하다. 경우에 따라선 비유로 설명하는 것이 도움을 주기도 한다.
전구에서 불이 켜지는 현상을 비유로 이들 낱말을 생각해 보자. '전구'라는 물체와 '점등'이라는 능력 그리고 '전광'이란 현상으로 설명하는 것이다. 전구는 방사성 물질, 점등은 방사능, 전광은 방사선으로 비유할 수 있겠다. 또한 방사성, 방사능, 방사선이란 낱말과 원소, 물질, 오염, 피폭이란 낱말을 조합해 보면 의미가 쉽게 다가올 수 있다. 어떤 조합이 적합할까. '원소'와 '물질'은 '방사성'과 결합하여 '방사성 원소' '방사성 물질'로 표현해야 '방사성'의 의미가 제대로 나타난다. '오염'은 '방사능'에 붙여 '방사능 오염'이라 하는 것이 옳다. '피폭'은 '방사선 피폭'으로 표현하는 것이 정확하다. 그렇지 않고 '방사선 오염'이나 '방사능 피폭'이란 말은 낱말들이 제대로 결합되지 못한 경우다.
방사선에 피폭되었다고 할 때의 '피폭'에는 두 개의 한자어가 있다. 한자를 모르면 구별하기 어려운 낱말이지만 被爆과 被曝이 그것이다. 被爆의 기본 뜻은 폭격을 받는 것이지만, 특별히 원자탄이나 수소탄의 폭격을 받거나 그 방사능으로 피해를 본 것을 뜻하기도 한다. 그러나 被曝은 인체가 방사능에 노출되는 것 자체를 가리킨다. 원자탄의 폭발로 방사선에 노출되었다면 被曝이라 해야겠지만, 이 경우에도 '피폭'은 曝(쬘 폭)이 아닌 爆(터질 폭)을 써서 被爆이라 한다. 원자탄이나 수소탄이 개재되지 않고, 원자력발전소의 사고로 인한 피폭은 被曝이다. 히로시마 원자폭탄 투하에 의한 피폭은 被爆, 체르노빌이나 후쿠시마 원전 사고로 인한 피폭은 被曝이다. 한자를 전혀 사용하지 않고 두 낱말을 구별하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방사능에 오염되든 방사선에 오염되든 뭐 그리 대수일까 하는 태도나 被爆과 被曝을 구분하지 않아도 대세에 지장이 없다는 주장은 어쩌면 후쿠시마 오염수에 대한 인식을 결정짓는 요인의 하나가 될 수 있다는 생각이 든다. 낱말에 대한 나의 지나친 의미 부여일 수 있겠지만.
한자연구가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