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024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6월 모의평가를 치르는 고3 학생.<연합뉴스> |
![]() |
2024학년도 6월 모의평가 자료한국교육과정평가원 제공 |
지난 1일 시행된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6월 모의평가에서 국어와 영어는 평이했고 수학은 까다롭게 출제된 것으로 나타났다. 수학은 지난해 수능보다 표준점수 최고점이 6점이나 올랐고, 국어와 수학 간 표준점수 최고점 격차도 커졌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은 27일 '2024학년도 수능 6월 모의평가 채점 결과'를 발표했다.
◆최고점, 작년 수능보다 6점 상승 '불수학'
영역별 표준점수 최고점을 보면 국어 영역은 136점, 수학은 151점으로 지난해 치러진 2023학년도 수능보다 각 2점과 6점 상승했다.
표준점수는 수험생의 원점수가 평균 성적과 얼마나 차이 나는지 보여주는 점수다. 통상 시험이 어려워 평균이 낮으면 표준점수 최고점이 상승한다.
지난해 수능의 경우 국어는 다소 쉽게, 수학은 어렵게 출제됐다는 평이 있었다. 올해 6월 모의평가는 국어·수학 모두 표준점수 최고점이 상승했지만, 국어는 작년의 쉬운 기조가 이어졌고, 수학은 까다로웠던 작년 수능보다 더 어렵게 출제됐다는 평가가 나온다.
실제로 이번 6월 모의평가에서 국어 표준점수 최고점을 받은 수험생은 1천492명으로 전체 국어 응시자 중 0.39%를 차지해 작년 수능(371명/ 0.08%)보다 무려 4배나 늘었다.
반면, 수학 만점자는 648명(0.17%)으로 작년 수능(934명·0.22%)보다 줄었다. 수학이 더 어렵게 출제되면서 국어와 수학 간 표준점수 최고점 격차도 지난해 수능(11점)보다 4점 늘어난 15점으로 벌어졌다.
문·이과 통합 수능 도입 이후 상위권 자연계열 수험생들이 높은 수학 표준점수를 바탕으로 대학 인문·사회계열에 교차 지원하는 현상이 두드러졌는데, 국어와 수학간 표준점수 최고점 차이가 벌어지면서 이런 기조도 심화할 가능성이 커졌다.
절대평가인 영어 영역은 1등급 학생 비율이 7.62%로 지난해 수능(7.83%)과 비슷했다.
◆점수 받기 유리한 국어 언·매, 수학 미적분 쏠림 현상 심화
문·이과 통합 수능 도입으로 국어·수학 영역에서 나타난 선택과목 쏠림 현상도 이번에 더 심해졌다. 국어의 선택과목별 응시자 비율을 보면 화법과 작문을 택한 수험생이 59.2%, 언어와 매체는 40.8%였다. 언어와 매체 선택 비율은 지난해 6월 모의평가 35.9%, 작년 수능 35.1%에 비해 5%포인트가량 높아졌다. 시험이 다소 어려운 대신 높은 표준점수 최고점을 받을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기 때문이다.
수학 선택과목 응시자 비율은 확률과 통계 47.8%, 미적분 48.5%, 기하 3.7%로 미적분이 확률과 통계를 처음 앞질렀다. 미적분을 선택한 학생 비율은 작년 6월 모의평가 42.8%, 9월 모의평가 44.8%, 작년 수능 45.4%였는데 이번 6월 모의평가에서는 48.5%를 기록하며 계속 늘고 있다. 지난해 수능에서 미적분을 선택했던 학생들이 인문사회계열로 교차 지원하는 이른바 '문과 침공'이 더 심화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이효설기자 hobak@yeongnam.com

이효설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