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구 중구 중앙로 대중교통지구의 일부 구간 해제가 검토된다. 사진은 지난 17일 대중교통전용지구에서 퀴어문화축제가 열리고 있는 모습. 영남일보DB |
대구 중구 중앙로 대중교통전용지구 일부 구간을 해제하는 방안이 추진된다. 2009년 전국 1호 대중교통전용지구로 지정된 지 14년 만이다. 쇠퇴하는 동성로 상권 활성화를 위한 대책인데, 효과를 두고 의문부호가 달린다.
29일 대구시에 따르면, '동성로 르네상스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중구 중앙로 대중교통전용지구 일부 구간의 한시적 해제를 검토하고 있다. 중앙네거리~대구역네거리(450m) 구간로, 전체 구간(반월당교차로~대구역네거리, 1.04㎞)의 절반 정도다. 기간은 내년 상반기부터 1년 정도가 유력하다.
대구시는 2009년 도심 교통체증 완화 및 대중교통서비스 개선, 도심 상권 활성화 등을 위해 중앙로 일원을 대중교통전용지구로 지정했다. 왕복 4차로를 2차로로 줄이고, 보행자 관련 시설을 대폭 늘렸다. 이 구간에선 일반 승용차가 다닐 수 없으며, 시내버스와 공공임무 수행 차량, 택시(특정 시간)만 통행을 허용했다.
이로 인해 대중교통 이용객 증가 및 보행환경 개선 등에서 일부 성과를 거뒀지만, 일대 상권은 침체에 빠졌다. 올해 1분기 동성로 중대형 상가 공실률은 19.5%다. 5곳 중 1곳이 비어 있다는 의미다. 전국 평균(13.3%)은 물론, 대구 평균(14.9%)보다도 높은 수준이다. 대중교통전용지구가 동성로와 약령시·종로를 동·서로 분단하면서, 약령시 등 서쪽 상권의 슬럼화에 한몫했다는 주장도 나왔다.
대구시는 중앙네거리~대구역네거리 구간의 지구 해제 후 교통·상가 동향 분석을 거쳐 영구 해제 여부를 판단한다는 방침이다. 이 일대를 절대 주·정차 금지구역으로 지정하고, 신호체계 효율화 및 횡단보도 위치도 조정한다. 동성로와 약령시·종로의 연결성 강화를 위해 공공디자인 등도 검토된다.
신규원 대구시 교통정책과장은 "동성로 활성화를 위한 여러 가지 방안 중 하나로 대중교통전용지구 일부 구간의 해제가 검토되고 있는 건 맞다"며 "의견 수렴 과정에서 구체적인 사안은 바뀔 수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지구 해제 실효성에 대해서는 여러 의문점이 제기된다. 동성로 상권 침체와 대중교통전용지구의 연관성이 완벽히 검증되지 않은 데다, 해제 후 부작용에 대한 우려도 나온다.
현재 대중교통전용지구는 편도 1차선으로 운영되고 있다. 일반 승용차가 유입됐을 때 병목현상 발생은 필연적이다. 보행자 친화 도로 특성상 만연한 무단횡단자에 대한 안전관리 문제도 수면 위로 떠오를 것으로 보인다.
지역 교통전문가는 "대중교통전용지구가 도입될 때 이면도로 정비 등 도시 계획적인 보완이 이뤄지지 않아 남·북의 교통체계 단절 등 여러 부작용을 낳았다"며 "해제가 결정됐다면 편도를 2차로로 넓히는 등 후속 조치가 필요하다. 현 상태에서 지구 해제만 이뤄진다면 교통 대란은 불가피할 것"이라고 저적했다.
이승엽기자 sylee@yeongnam.com

이승엽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