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자전거 인프라 전국 상위권…사고 위험은 여전

  • 이승엽
  • |
  • 입력 2023-10-18  |  수정 2023-10-18 07:26  |  발행일 2023-10-18 제8면
자전거도로·주차장 등 인프라 전국 상위권

안전과 정책 부문에선 아쉬움 드러내
대구 자전거 인프라 전국 상위권…사고 위험은 여전
대구 북구 금호강 종주 자전거길을 한 가족이 자전거를 타고 지나가고 있다. 영남일보 DB
대구지역 자전거 이용 인프라가 전국 상위권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자전거 도로 길이 등 외형적인 부분은 물론, 주차장과 수리센터 운영실적 등 내실 면에서도 합격점을 받았다. 다만, 정책적 부분과 안전에서는 허점을 드러내 당국의 개선이 요구된다.

17일 행정안전부가 공개한 '자전거 이용 현황(2022년)'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대구지역 자전거 도로 총연장은 1천113.12㎞로 집계됐다. 전국 8대 특·광역시 중 서울(1천315.99㎞)에 이어 두 번째로 길었다.

주차 공간도 충분한 것으로 파악됐다. 지난해 대구 지자체에서 운영하는 주차장 규모는 1천280개소 2만1천588대로, 서울(12만7천26대)·인천(2만6천204대) 등과 함께 전국 상위권을 형성했다.

대구 자전거 인프라 전국 상위권…사고 위험은 여전
안전표지판, 자전거 횡단도 등을 포함한 자전거 안전시설은 서울(3만2천831개소) 다음으로 많은 3천928개소에 달했다. 자전거 수리센터 운영실적(2만3천645건)도 전국 17개 시·도 평균(9천619건)을 크게 웃돌았다.

다만, 자전거 활성화 시책 및 보험 등 정책적인 부분에선 아쉬움을 드러냈다. 지난해 대구지역 공영자전거는 373대로, 전국 평균(2천620대)을 크게 밑돌았다. 이용실적도 9천990건에 그쳐 산간지역인 강원도(6천317건)를 제외하면 가장 저조했다.

자전거 이용 활성화 계획도 대구시 외 8개 구·군에선 마련돼 있지 않았다. 인구 100만명 이상 광역시급 지자체에서 지자체별 자전거 이용 활성화 계획이 수립되지 않은 곳은 대구와 대전이 '유이'했다.

자전거 사고에 대한 안전불감증이 여전하다는 지적이다. 지난해 대구지역 자전거 관련 교통사고는 405건으로, 이전해(401건)보다 소폭 증가했다. 자전거 관련 단체보험 가입인원도 82만여명으로 집계돼 부산(48만여명), 강원(58만여명), 제주(68만여명) 등과 함께 하위권에 속했다.

임길호 대구시 녹색교통팀장은 "공영자전거의 경우 드는 비용에 비해 사업 효과가 저조하다는 판단에 도입을 망설이고 있다. 자전거 도로도 총연장은 길지만, 보행자 겸용도로가 대부분이라 개선이 필요한 상황"이라며 "앞으로 자전거 이용 제고를 위해 도시철도 등과 환승 방안 등을 적극 검토할 예정"이라고 했다.

이승엽기자 sylee@yeongnam.com

기자 이미지

이승엽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사회인기뉴스

영남일보TV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

영남일보TV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