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지난 10일 오후 대구 군위군 효령면 한 마을 진입도로가 태풍 '카눈'이 쏟아낸 호우에 유실돼 있다. 연합뉴스 |
![]() |
대구권 지자체 일반회계 재난 예비비 편성 및 사용 현황표. 용혜인 의원실 제공 |
대구시와 시·군의 재난재해 예비비 집행률이 극히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용혜인 기본소득당 의원이 22일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대구시는 2019년부터 지난해까지 4년 동안 80억원의 재난예비비를 편성했지만 실집행액은 10억6천억(집행률 13%)으로 확인됐다. 2021년과 2022년에는 집행 금액이 없었다.
기초 지자체로는 달성군이 4년 평균 91%의 높은 집행률을 보였고, 다음으로 달서구의 집행률이 31%였다. 나머지 6개 구청은 0~2%로 극히 저조한 집행률을 기록했다. 중구, 서구, 북구는 집행률이 0%였다. 수성구는 1%, 동구와 남구는 각 2%였다.
더욱이 달서구와 달성군을 제외한 6개 구청들은 추가경정예산 편성 시 재난 예비비를 대폭 증액했지만 집행률은 0~2%대에 불과했다.
태풍과 폭염 피해가 큰 대구지역 지자체들이 재난 예비비를 주민들 재해 지원이 아닌 여유자금 비축 용도로 사용하고 있다는 게 용 의원 측의 지적이다. 재난재해 예비비는 예상할 수 없는 재난과 재해에 대비해 지자체가 편성 여부나 한도에서 규제를 받지 않고 자율 편성할 수 있다.
정재훈기자 jjhoon@yeongnam.com

정재훈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