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구 지하철 내 부정승차가 증가하고 있다. 사진은 출근길 2호선 반월당역의 모습. 영남일보DB. |
제값을 내지 않고 도시철도를 이용하는 '얌체 승객'이 갈수록 늘고 있다. 단돈 1천250원에 양심을 버린 셈이다. 고질적인 무임 수송과 연료비 증가에 더해 부정 승차까지 기승을 부리며 대구도시철도의 재정난만 키우고 있다는 지적이다.
22일 대구교통공사에 따르면, 지난해 도시철도 내 부정 승차 단속에서 1천757건이 적발됐다. 하루 평균 5명 꼴로 요금을 내지 않고 도시철도를 이용한 것이다. 지난해 부정 승차를 적발해 거둬들인 과태료(운임의 30배)만 5천200여만원에 달한다.
유형별로는 교통카드 오사용이 708건(40%)으로 가장 많았다. 청소년이 어린이용 카드를 내거나 어른이 청소년 카드를 사용한 경우다. 만 12세 이하 어린이만 사용 가능한 할인권을 청소년 등이 사용한 경우도 705건(40%)에 달했다. 가격이 500원인 어린이 승차권의 경우 도시철도 역에서 별다른 인증 과정 없이 구매할 수 있다.
아예 승차권 없이 입장하다 적발된 사례도 286건(17%)이나 됐다. 앞사람이 교통카드를 태그하면 뒷사람이 바로 붙어서 출입구를 통과하거나, 승차권 없이 개집표기를 넘는 방식이다. 만 65세 이상 혹은 유공자·장애인 등에 부여된 우대권(무료)을 무자격자가 사용하다 적발된 경우도 58건(3%)이었다.
대구도시철도 내 부정 승차는 매년 증가 추세다. 2020년 875건이었던 부정 승차는 이듬해 1천314건, 지난해 1천757건으로 2년 새 2배 이상 늘었다. 올해도 9월 말 기준으로 1천383건의 부정 승차가 발생했다.
부정 승차가 기승을 부리면서 대구교통공사도 특별 단속 활동에 들어갔다. 공사는 부정 승차 집중단속반을 운영해 매월 한 주간 주요역사에서 단속을 벌이고 있다. 집중단속반은 빅데이터 및 패턴 분석을 통해 우대 교통카드 상위 사용 역 및 출퇴근 시간 상위 역 등에 집중 배치됐다. 부정 승차 의심 현장을 신고하면 보상금(문화상품권 1만원)을 지급하는 시민참여형 신고보상제도 운용하기로 했다.
부정 승차 예방 체계 구축에도 힘을 쏟는다. 발매기 대상 연령 알림창이 보이도록 역무기기 프로그램을 개선하고, 홈페이지와 배너·안내방송·행선안내 게시기 등을 통해 수시로 부정 승차 예방을 홍보 중이다. 관련 캠페인도 정기적으로 펼치기로 했다.
대구교통공사 관계자는 "최근 몇 년 새 부정 승차 적발 인원이 늘어난 것은 코로나 이후 승차 인원이 증가한 것도 한 원인"이라며 "부정 승차를 하다 적발되면 운임의 30배는 물론, 부정 승차 이력을 합산해 부가금을 물릴 수 있다"며 주의를 당부했다.
이승엽기자 sylee@yeongnam.com

이승엽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