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서·남구, 10명 중 1명 꼴 기초생활수급자…매년 증가세

  • 박영민
  • |
  • 입력 2023-12-06  |  수정 2023-12-05 17:53  |  발행일 2023-12-06 제8면
남구와 서구 인구 중 11.47%, 10.46%가 기초수급자

지자체 "수급 인원 절반 이상이 65세 이상 인구"

매년 증가세… 내년에도 지원기준 확대돼 또 증가할 전망

대구 서·남구, 10명 중 1명 꼴 기초생활수급자…매년 증가세
대구 남구 대명동에 거주하는 기초수급자 영남일보DB

대구 서구와 남구지역 주민 10명 중 1명 꼴로 기초생활 수급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 소멸 지역인 서·남구는 수급 기준이 확대된 데다 가파른 고령화로 수급률이 증가한 것으로 분석된다.

5일 대구시와 각 구·군에 따르면 대구의 기초생활수급 인원은 모두 15만2천662명이다. 전체 인구(237만6천978명)의 6.42%를 차지하는 비중이다.

이가운데 남구의 수급 인원이 1만6068명으로 남구 전체 인구(14만132명)의 11.47%를 차지했다. 서구는 1만6천850명으로 전체 인구(16만1천149명)의 10.46%였다.

대구의 기초생활 수급률은 최근 수년간 증가하고 있다. 2020년 5.4%에서 올해 6.42%를 기록해 3년 새 1.02%포인트 증가했다. 같은 기간 남구와 서구는 각각 9.6%와 8.5%에서 1.87%와 1.96%포인트 늘었다. 대구 전체 평균을 웃도는 가파른 증가세다.

이는 인구 고령화에 따른 것이다. 청년들은 다른 지역으로 빠져나가고, 65세 이상 고령 인구는 점차 늘어나는 불균형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다.

기초생활 수급자 증가세는 내년에도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지난 7월 보건복지부 중앙생활보장위원회가 지난 7월 2024년도 기준 중위소득을 역대 최고 수준으로 인상함에 따라 내년 기초생활 수급 기준이 확대되기 때문이다.

신형진 경북대 교수(사회학과)는 "서·남구는 특히 어르신들이 많고 청년 유출도 심화하는 악순환이 이어지고 있다. 근본적으로 일자리를 창출해 청년 인구를 늘려야 하는데 기초지자체 입장에서 쉬운 일은 아니다"며 "저출산 고령화 상황에서 당장 서구와 남구가 빈곤 문제를 해결하고 생산인구를 늘리려면 노인 일자리를 창출하고 여성의 경력단절을 줄이는 구정을 펼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영민기자 ympark@yeongnam.com

기자 이미지

박영민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사회인기뉴스

영남일보TV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

영남일보TV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