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게티이미지뱅크> |
대구 기초자치단체들이 고독사 위험 가구 발굴에 힘을 쏟고 있다. 1인 가구 증가의 영향으로 고독사 위험도 갈수록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19일 대구시가 공개한 고독사 위험군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대구에 거주하는 장년(만 50~64세) 1인 가구 4만 4천 530명 중 고독사 위험군으로 분류된 인원은 8천683명(19.5%)이었다. 고위험군은 1천737명(3.9%)이었고, 중위험군 4천453명(10.0%), 저위험군 2천493명(5.6%)으로 나타났다.
보건복지부의 2022년 고독사 실태조사 자료를 보면 2021년 기준 대구 고독사 수는 124명으로, 2017년(85명)보다 45.9%(39명) 증가했다.
고독사 위험군 실태조사는 조사에 응한 사람만 발굴할 수 있어 한계가 있다. 대구시 조사는 1인 가구 10만여 명을 대상으로 했지만, 응답률은 절반에도 못 미쳤다. 사각지대가 생기는 셈이다.
이에 대구 9개 구·군은 자체적으로 고독사 위험군을 발굴하기 위한 정책을 내놓고 있다.
음료 배달을 통해 위험 가구 발굴에 나서는 지자체도 있다. 남구는 퇴직 경찰들이 직접 건강음료를 배달하며 위험 가구를 발굴하는 사업을 진행 중이다. 다음 달부터는 퇴직한 사회복지사 7명이 직접 위문품을 전달하며 위험 가구를 찾는다.
북구의 경우 지역 음료 사업체와 업무협약을 맺어 230명의 음료 배달원들이 직접 안부를 물어보며 위험 가구를 발굴한다.
사회와 단절된 이들을 위해 '인적 안전망'을 구축하기 위한 노력도 있다. 대구시는 고독사 예방을 위해 지난달 '즐생단'(즐거운 생활 지원단)을 통한 고독사 위험군 발굴에 나섰다. 대구시 시니어클럽협회, 영남이공대, 사회복지관 협회와 업무협약을 통해 60세 이상 사회복지사 자격증을 가진 502명을 복지관에 투입, 위험군 발굴 및 상담·지원에 나선다.
동구는 1천여 명으로 구성된 '새론희망 발굴단'을 운영하고 있다. 통장·가게 상인 등으로 구성된 발굴단을 통해 이웃 주민들을 챙기도록 하고 있다. 서구는 돌봄서비스, 요리 교실 등을 통해 인적 안전망을 구축하는 사업을 진행 중이다.
위험 가구 발견 시 이를 신고하는 문화를 만드는데도 애를 쓰고 있다. 동구는 주민등록을 하러 오는 주민들을 대상으로 신고를 해달라고 홍보 캠페인을 벌이고 있다. 북구는 카카오톡에 '복지 채널'을 개설해 비대면으로 신고할 수 있도록 했다.
달서구에서는 스마트 기술을 활용한 사업도 진행하고 있다. 빅데이터 기술을 통해 1인 가구의 전력량을 분석한 후 위험 가구를 찾아낸다.
전문가들은 이들을 발굴하는 데에 그치지 않고 사회활동을 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고 조언한다. 박창제 경북대 교수(사회복지학과)는 "고독사의 가장 큰 문제는 사회관계가 다 끊어졌다는 것"이라며 "고독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비슷한 사람들끼리 연결될 수 있게 돕고 각종 사회 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해야한다"고 했다.
박영민기자 ympark@yeongnam.com

박영민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