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안전부 고기동 차관이 27일 오전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지역 물가책임관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연합뉴스 |
정부가 하반기에도 지방 공공요금 동결 기조를 유지하기로 했다.
인상이 불가피할 경우 2025년 이후로 인상 시기를 늦추는 한편 인상액 최소화 및 인상 시기 분산 등을 위해 지자체와 적극 협력할 방침이다.
행정안전부는 27일 고기동 차관 주재로 '지방물가 안정 관리 지역 물가책임관 회의'를 개최했다. 이번 회의는 4월 소비자물가지수가 2.9% 인상에 그쳤으나, 물가의 불확실성이 여전히 존재하는 만큼 중앙-지방 간 긴밀한 협력을 바탕으로 지방물가 안정화 대책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17개 시도별 지역 물가책임관들은 지자체 민관합동 물가대책반과 함께 서민물가에 영향이 큰 지방공공요금 안정화에 적극 대응하고, 지역축제나 피서지 바가지요금 단속 현장점검으로 바가지요금 근절 등 지방 물가안정을 위해 총력 대응하기로 했다.
지방 공공요금 안정 관리와 관련해서는 하반기에도 동결 기조를 유지하고 인상이 불가피 할 경우 2025년 이후로 인상 시기를 늦추거나, 인상액 최소화 및 인상 시기 분산과 요금 감면 등을 지자체와 적극 협력할 계획이다.
또 휴가철 피서지와 지역축제 현장의 바가지요금을 근절하기 위해 가격·중량표시제, 판매가격 공지, 바가지요금 신고센터 운영 등을 확대 시행한다. 또 행안부 물가책임관, 지자체 공무원, 지역상인회, 소비자단체 등으로 구성된 민관합동 물가점검반을 가동해 현장의 바가지요금 단속을 강화할 예정이다. 최근 문제가 되고 있는 외국인에 대한 바가지 상행위 단속 대책에 대해서도 대응책을 마련하기로 했다.
고 차관은 "국민들이 체감하는 물가 부담을 덜어드릴 수 있도록 전국의 지자체와 협력하여 지방물가 안정화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구경모기자 chosim34@yeongnam.com
구경모
정부세종청사 출입하고 있습니다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