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한 대학병원에서 의료진들이 수술실로 이동하고 있다.영남일보DB. |
정부가 올 하반기 전공의 추가 모집에서 지역 수련병원 전공의도 수도권 병원에 지원할 수 있도록 권역 제한을 철폐했다. 이는 전공의들이 9월부터 수련을 재개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한 조치다. 하지만 대구 의료계에선 이같은 조치로 인해 전공의 유출이 심화할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
김국일 보건복지부 보건의료정책관은 18일 브리핑에서 "전공의 추가 모집 시 지역 권역 제한을 두지 않기로 했다"며 "전공의 복귀자 수가 적기 때문에 수련병원이 한 명이라도 더 고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지역 수련병원을 사직한 전공의들이 '빅5' 병원을 포함한 수도권의 주요 병원으로 옮겨 수련을 받을 수 있게 됐다.
이번 조치는 대구 의료계에도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전공의들이 서울을 포함한 수도권 병원으로 이동하면 대구의 병원들은 인력 부족 문제에 직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는 곧 진료 공백으로 이어져 지역 의료 서비스의 질 저하가 우려된다.
대구 A 대학병원 관계자는 "지역 병원의 전공의 이탈이 우려된다. 하반기 추가 모집 과정에서 전공의가 동일 권역 내 병원만 지원할 수 있도록 제한해 달라고 요청했지만, 정부는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다"고 했다.
정부는 또 9월에 복귀하지 않는 군 미필 전공의는 입대해야 하며, 일반병으로 복무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밝혔다. 김 정책관은 "전공의는 의무사관 후보생으로 등록되기 때문에 입대하면 군의관이나 공보의로 복무해야 한다"며 "복귀하는 전공의는 국방부, 병무청과 협의해 입영 연기 특례를 적용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아울러 정부는 전공의 사직 인원을 제출하지 않은 수련병원에 대해 전공의 정원을 감축하기로 했다. 복지부는 각 수련병원에 전날까지 부처 산하 수련환경평가위원회에 전공의 결원을 보고하도록 요청했다. 이는 사실상 미복귀 전공의를 일괄 사직 처리하라는 요구였다.
김 정책관은 "일부 병원이 인원을 제출하지 않은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며 "해당 기관들은 전공의 수를 감원하고 그 규모는 사정을 고려해 판단할 것"이라고 말했다.
대구지역 병원들도 이러한 조치의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전공의 인원 감축이 이루어질 경우, 대구지역 병원들은 인력 충원에 어려움을 겪게 되고 이는 지역 의료 서비스의 질 저하로 이어질 수 있다.
정부가 18일 수련병원에 복귀하지 않는 전공의에 대한 사직 처리를 요청한 결과, 절반을 넘는 7천여명이 사직한 것으로 집계됐다. 빅5 대형병원 소속 전공의의 경우 90% 이상이 사직처리됐다. 수련병원은 이번 하반기 전공의 모집에서 7천707명의 인원을 신청했다.
전공의 추가 모집은 이달 22일부터 시작된다. 각 병원은 복지부가 정한 채용 인원(TO)에 따라 모집 공고를 낸다. 지원자는 다음 달 필기·실기시험을 치르고 합격하면 9월 1일부터 해당 병원에 출근하게 된다. 김 정책관은 "9월 전공의 복귀 규모는 예측하기 어렵다"면서 "병원장·교수와 협력해 수련체계 정상화를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정부는 최근 텔레그램 등 온라인상에 복귀 전공의 명단을 공개한 행위에 대해 수사를 의뢰했다.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은 "경찰은 파견 공보의 명단 유출, 복귀 전공의 명단 인터넷 게시 등 사건에 가담한 의사, 의대생 총 18명을 특정하고 검찰에 송치 했다"며 "전공의 복귀를 방해하는 불법 행위에 대해 엄정 대응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강승규기자 kang@yeongnam.com
강승규
의료와 달성군을 맡고 있습니다. 정확하고 깊게 전달 하겠습니다.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