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구 중구 중앙로역 인근 인도 위를 한 시민이 헬멧 등 안전 장비 없이 전동킥보드를 타고 있다. 영남일보DB |
전동킥보드, 전기자전거 등 개인형 이동장치(PM) 사고를 일으킨 운전자 10명 중 7명이 20대 이하인 것으로 나타났다. PM 사고 35%는 무면허 운전자가 일으킨다는 분석 결과도 나왔다.
10일 도로교통공단 교통과학연구원이 발간한 학술지 교통안전연구에 '개인형 이동장치 교통안전 확보를 위한 정책방향 연구' 논문이 게재됐다.
연구팀은 공단 교통사고분석시스템(TAAS)를 활용해 2017~2022년 PM 사고 관련 5천900여건의 데이터를 수집, 사고자 연령대가 확인된 5천860건을 분석했다.
![]() |
2017~2022년 교통사고 유형별 연령대 현황. |
분석 결과 PM 사고 운전자 중 20대 이하 비율이 전체의 64.5%에 달했다.
연령별로는 20세 미만이 32.4%, 20대는 32.1%로 나타났다. 30대는 14.7%, 40대 이상은 20.8%에 그쳤다.
자전거·면허차량 사고 현황과 비교하면 20대 이하 운전자의 PM 사고 비율이 매우 높다는 특성이 더욱 부각된다. 자전거 사고의 경우 20대 이하 비율은 29.2%였고, 면허차량은 15.4%에 그쳤다.
특히 운전면허 취득 여부별 교통사고 현황을 살펴보면 이러한 특성이 한층 더 도드라진다. PM은 원동기장치자전거(16세 이상 취득 가능) 이상의 면허가 있어야 운전할 수 있다.
그러나 PM 교통사고 중 운전면허 미취득자에 의한 사고는 34.6%를 차지했다. 면허차량 교통사고 중 면허 미취득자 사고가 2.4%에 불과한 것과 비교하면 PM 사용 중 위법이 얼마나 일반적으로 발생하는지 알 수 있다.
연구팀은 "무면허 운전 중 사고를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PM은 20대 이하 비율이 86.2%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면허차량은 상대적으로 연령대별로 고른 비율을 보였다"면서 "20대 이하 무면허 운전자를 대상으로 면허 취득을 유도하고, 제도권 내 편입을 통한 관리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연구팀은 최근 1년간 PM 이용 경험이 있는 20세 이상 운전자 100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 결과도 내놨다.
응답자의 93%는 PM 운전에 면허가 필요하다는 점을 인지하고 있었다. 반면 16세 이상 미성년자의 원동기장치자전거 이상 면허 취득 필요성에 대한 인지율은 64%에 그쳤다. 연구팀은 이러한 인식이 20대 이하 연령대 무면허 사고 발생으로 이어진 것으로 판단했다.
또한 이용규칙별 인지율을 살펴보면 PM 허용도로에 대해 알고 있는 경우가 63%, 안전모를 착용해야 하는 것과 승차 정원 제한에 대해 알고 있는 경우는 각각 97%, 92%였다. 음주운전 금지에 대해선 100%, 전조등 등 등화장치 의무화는 54%가 알고 있었다.
준수율은 대부분 인지율에 미치지 못했다. 허용도로를 지키고 안전모를 착용한 채 운전하는 경우는 각각 26%였고 승차 정원과 음주운전 금지 규칙을 준수하는 비율은 각각 77%, 82%였다.
시민들은 PM 안전대책으로 대여 시 운전면허 확인 의무화(86%), 연령기준 상향·단속 강화(각 78%), 교통안전교육 의무화(74%) 등을 꼽았다. 현재 법적 의무 없이 업계가 자발적인 운전면허 확인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하지만 무면허 운전자도 대여가 가능한 상황이기 때문에 법적 테두리를 마련할 필요성이 제기된 것이다.
연구팀은 "현 시점에서는 PM 운행을 위한 자격요건 및 이용규칙을 운전자에게 지속적으로 알리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특히 10대, 20대를 중심으로 교통안전교육을 적극 시행해야 한다"면서 "윤전면허는 현 수준을 유지하되 20대 이하 무면허 운전자 관리를 위해 음주운전, 동승자 탑승 등 법규 위반 단속을 강화해야 할 것"이라고 했다.
최시웅기자 jet123@yeongnam.com

최시웅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