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지난 1월 11일 상주시 모동면 스마트팜 오이재배 농장을 방문한 송미령(왼쪽) 농식품부 장관이 청년농업인 정도환씨로부터 오이재배에 대해 설명을 듣고 있다. <상주시 제공> |
농식품부가 23일 "월 최대 110만 원의 정착지원금을 최장 3년까지 지원하는 청년 농업인 영농정착지원사업을 확대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지원자가 오는 2025년까지 2만 3천명에 육박할 전망이다.
영농정착지원사업은 영농 초기 소득감소에 따라 청년들이 겪는 어려움을 완화하기 위한 취지이다. 농식품부는 2018년부터 운영 중인 이 사업의 지원 인원을 올해부터 5천명으로 늘려 청년들에 대한 지원을 한층 강화하기로 했다.
그간 지원대상자로 선정된 청년농업인들의 특성을 분석하면, 농사 경험이 없는 영농 예정자의 비율이 계속 늘고 있다. 2018년에는 영농예정자 비율이 42.5%였으나, 올해는 78.3%로 늘었다. 농고나 농대를 졸업하지 않은 비농업계 청년 비중도 2018년 65.6%에서 2024년 79.9%로 증가했다.
농식품부는 "농업과 관련이 없던 도시 청년들의 관심이 높아진 것으로 추정된다"며 "여성 청년 농업인의 비중도 증가하는 추세다. 2018년에는 여성 비중이 17.5%에 불과했으나 2024년에는 29.6%로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농식품부는 또 청년들의 영농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2025년에 장기 임대형 스마트팜 4개소를 신규 조성한다. 30호 규모로 조성 중인 임대주택단지도 10개소를 추가 선정해 모두 27곳에 조성할 계획이다.
구경모기자 chosim34@yeongnam.com

구경모
정부세종청사 출입하고 있습니다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